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번역사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번역의 역사이다. 한국 번역사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기술하려면 기술 대상이 되는 번역 자료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번역의 정의와 직결된 문제인데, 번역의 정의는 선험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 과거에 존재했거나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번역 현상에 대한 정확한 관찰에 근거해서 이루어져야 번역사의 기술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표기의 수단과 번역의 단위, 번역의 방향, 언어의 치환 여부 등을 기준으로 번역의 정의를 정밀화했다. 이에 따르면 번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번역은 말이나 글로 된 한 언어(SL)의 단어 이상 텍스트에 담긴 의미를 그와 등가인 다른 언어(TL)의 글로 된 텍스트로 옮겨서 재현하는 과정이나 혹은 그러한 과정의 결과이다. 이때 목표언어 고유의 표기 수단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목표언어가 반드시 번역자의 모국어일 필요도 없으며, 간혹 언어 기호의 치환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한국 번역사의 자료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원천언어 텍스트를 상정할 수 있는 한역(漢譯) 자료, 석의류 자료, 석독구결 자료, 정음 번역 문헌 등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논의는 한국 번역사의 내용 구성과 아울러 한국 번역사의 시대 구분 작업에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해줄 것이다


For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description of Korean translation history, we should determine what materials are included within the category of translation. In this context, taking such factors as translated unit, the writing system used in translation, direction of translation, substitution of verbal signs into consideration, the author has specified the definition of translation. As a result he has reached a conclusion on the definition of translation that translation is the transferring process or its result of the meaning contained in textual material not less than a word in one language(SL), whether it be written or spoken, by equivalent textual material in another written language.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writing system of target language be required, and target language be the translator's native tongue, and the substitution of verbal signs be asked. From the viewpoint of this line of definition, he has included some materials into translated materials of Korean translation history. They are proper noun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inese texts originating from original Korean spoken text, Seokdok-Gugyeol(釋讀口訣) texts, Seokeuiruy(釋義類) texts, and Korean texts translated from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