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나이’는 ‘냉이’의 최초 문헌예이다. 성조가 ‘平去’로 실현되었다. ‘나히’는 최고형인 ‘나이’과 사실상 통시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는 고어형이다. 오늘날 ‘냉이’의 직접적 소급형임이 분명한 ‘낭이’는, ‘나이’와 어형변화 과정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보다 ‘나히’와 어형변화 과정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18세기에 등장하는 문헌들에서는 그 어형변화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을 정도로 문증된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좀더 확보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 ‘냉이’의 어원은 기원적으로 동사어간 ‘낫-, 낳-’에 명사 파생접미사 ‘-이’가 통합된 결과이며 ‘냉이’의 직접적인 소급 어원형은 국어사전류나 상식적으로 이해되어 왔던 ‘나이(>나이>낭이)’가 아니라 ‘낳-+-이→나히(>낭히>낭이)’로 보고자 한다. 한편 ‘냉이’의 ‘낫-’ 계 방언형은 지역적 분포상 경남, 전남이 진원지인 남방계로 북진하면서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 ‘낳-’ 계 방언형은 평안, 황해 및 경기 일부가 진원지인 북방계로 간헐적으로 전파되었다. 오늘날 ‘냉이’는 북방계 방언형이 현대국어에서 표준어로 선정된 것이다.


The oldest word-form of 'Naeng-i(shepherd's purse)' was '나(Na-zi)'. And its tone was realized into even-high(平去).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hing we notice that '나히' that was the other word-form had no relevance to '나' diachronically. As a result, the etymon of 'Naeng-i' did not originated from the only one stem. As s matter of fact, it is inevitable that the word-formation processing of the 'Naeng-i' was '낫(出)-/낳(生)-'+ -이(derivative suffix). And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that the direct etymon of 'Naeng-i(냉이)' was not '낫-+-이→나(>나이>낭이)' but '낳-+-이→나히(>낭히>낭이)'.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gion, the 'Naeng-i' was specialized from '낫-' dialects that was southern type or '낳-' dialects that was nothern type etc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