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교문법은 국어교육 현장에서 규범문법으로 교육되는 문법이다. 그러나 검인정 체제에서의 학교문법은 기존의 국정 체제의 문법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방향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학교문법은 규범성과 통일성이 약화되어 있다. 2013년에 시작되어 2017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는 표준문법은 학교문법이 좀 더 유연한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표준문법은 규범성과 통일성을 가지게 되므로 향후 학교문법의 기술에 중요한 참조문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표준문법의 범용성과 보편성은 학교문법이 실제 언어생활에 부합되는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기반문법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앞으로의 학교문법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문법 체계를 습득하게 하기보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국어지식을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자가 스스로 국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문법 교육은 규범적 국어지식을 주입시키는 대신 국어 자료에 대한 귀납적인 탐구 학습을 통한 논리적인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학교문법은 이러한 탐구 학습적 문법 교육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School grammar means prescriptive grammar used in school education; however school grammar implemented i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ends to be more open and flexible than that in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Standard Korean grammar consists of more flexible contents and system than the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thu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language education at school. Especially, the versati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andard Korean grammar are anticipated to be helpful when developing contents and system for school grammar better accord with the reality of language use. The desirable function of school grammar is to aid its learners recognize latent linguistic knowledge in their minds rather than learn a new grammatical system. Moreover, school grammar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skills to analyze language. The ideal consequence of grammar education is the improvement of logical reasoning skills through inductive research on linguistic data rather than memorization of prescriptive grammatical rules. In line with this, school grammar should be designed as a tool for research-oriented gramma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