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조선지지자료』 부산편 한글 표기 지명 281를 대상으로 필사본 지명을 확정하고 차자표기법, 한글 표기법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분석 결과 차자표기법에서 네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지만 한글 표기 지명과 한자 표기 지명이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 지명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유 지명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한자를 잘못 표기한 것과 오기도 발견되었다. 지명의 후부 요소로는 ‘간(澗), 계(溪), 천(川), 강(江), 곡(谷), 산(山), 령치현(嶺峙峴), 치(峙), 야(野), 야평(野坪), 평(坪), 진(津), 포구(浦口), 제언(堤堰), 보(洑), 못[池], 주막(酒幕), 성(城) 등 18개의 대부류가 나타났다. 또, 한글 지명의 표기법에는 1910년도의 표기법과 부산 방언의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징적인 표기법으로는 ·의 쓰임, ㅅ계 합용병서의 표기, 7종성 표기, 사이시옷의 표기 등이었다. 또한 한글 지명에는 부산 방언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ㅡ’와 ‘ㅓ’의 비변별 현상, ‘ㅔ’와 ‘ㅐ’의 합류, 자음 뒤 이중모음의 제약, 구개모음 앞에 있는 ‘ㄱ’, ‘ㅎ’의 구개음화 현상 등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ㅅ, ㅈ, ㅊ’과 결합한 이중모음이 다른 지역보다 제한적이었다. 또,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지명은 단 하나의 형태에서 나타나며, 18세기에 완성된 것으로 알려진 ‘ㄷ’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은 지명도 나타났다. 또, 경남 방언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가 불규칙하게 적용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ㄴ,ㄹ’ 탈락현상은 나타나지만 자음위치 동화 현상이 반영된 지명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Joseonjijijaryo』 Busan Hangeul toponym 281 to determine transcript toponyms and analyze Chinese Character-Borrowing system and Hangeul orthography. We found Chinese Character-Borrowing system had all four general rules yet had errors in Korean toponyms and Chinese Character toponyms considered as non-corresponding toponyms. Based on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some toponyms found to be wrong and false interpretation. The study found 18 frontal part of toponyms including ‘Gan(澗), Gye(溪), Cheon(川), Gang(江), Gok(谷), San(山), Ryeongchi(嶺峙), Hyeon(峴), Chi(峙), Ya(野), Yapyeong(野坪), Pyeong(坪), Jin(津), Pogu(浦口), Jeeon(堤堰), Bo(洑), Mot[池], Jumak(酒幕), Seong(城). Some applied Hangeul orthography from 19th century or elements from Busan dialect. Distinguishing orthography includes usage of ‘ · ’, usage of s-series habyongbyungseo, indicating 7 final consonant, and usage of inter siot(ㅅ). In addition, on Korean toponyms, we found non-distinctive phenomenon of ‘ㅡ[ɨ]’and ‘ㅓ[ə]’ which could be found on Busan dialect, blending of ‘ㅔ[e]’ and ‘ㅐ[ɛ]’, restriction on consonants followed by diphthongs, palatalization of ㄱ[k] and ㅎ[h] which are positioned in front of palatalized vowels, and restriction of sibilantㅅ, ㅈ, ㅊ combined with diphthong. Specifically, we found the initial law was always applied except in one condition; we also found ㄷ palatalization was not applied in one region which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in 18th century. ㄱ palatalization and ㅎ palatalization were irregularly applied and used which are also vigorously used in Busan dialect. Finally, ㄹ, ㄴ elision was found in two toponym and we were not able to find any toponym with consonant position assimilation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