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70년대 이후 부활되고 있고, 종교철학계와 윤리학계의 일각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신명론(Divine Command Theory)에 대한 변론의 한 노력인 동시에 크게 보면, 신앙과 이성을 조화시키려는 중세이후 철학의 한 흐름에서 나왔다. 신명론은 도덕성의 기준을 신의 명령이나 의지에 기초지우는 윤리이론이다. 그리고 신의 변덕스러움과 자의적인 명령은 도덕이론으로서의 신명론의 권위를 도전케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신의 명령의 자의성에 기반한 세 가지의 비판을 차례로 소개하고 반박한다. 신의 명령이 변덕스러울 수 있다는 것과 실제로 나쁜 명령일 수 있다는 레이첼스의 비판과, 신의 명령이 순수하게 가정적으로도 나쁜 행위를 명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신명론 자체를 위협한다는 레이맨의 비판을 차례로 비판하고, 성서에 나오는 신의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명령이 신의 자의성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없음을 보인다. 신의 명령이 가지는 합리성과 자발성은 서로 조화, 양립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신명론은 자의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essay, I try to defend a recently revived ethical theory, Divine Command Theory, from arbitrariness. It is a theory which is based on God's commands or will, whose Achilles' heel lies in its seemingly whimsical, capricious or arbitrary characters. I defend the theory from three major criticisms. I introduce and criticize Rachels' attack that divine command may be arbitrary and that God actually commands immoral acts. I disclose the unjustifiability of Layman's assumption that a purely hypothetical situation may destroy the divine command theory and that we need a moral standard above God even in the theory. I show that God's commands of the immoral acts to three Patriarchs' in the Old Testaments could not be used as an evidence for the arbitrariness of divine command through the compatibility of reason and voluntariness. Arbitrariness of divine commands may lie on a particular God or interpretation of a believer not on the divine command theory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