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우리시대의 새로운 인간 이해를 모색하기 위한 종교-윤리적 형이상학에 관한 탐구이다. 연구의 테마를 주체성을 중심으로 설정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작업을 통해 본 논문은 진행된다. 모더니즘의 경우 헤겔의 동일성철학에 맞서는 키에르케고어의 실존변증법이 보여주는 파토스적인 인간 이해를 발견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경우 후설 현상학을 넘어서고자 하는 레비나스의 감성 이해가 보여주는 새로운 주체성 이해를 발견할 수 있다. 키에르케고어와 레비나스의 주체성 이해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이들의 인간 이해가 신과 이웃사랑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드러낸다는 사실이 규명된다. 이런 사실은 유대-기독교적인 서양문명의 지배적인 인간이해와 상호 긴밀하게 제휴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인간에 관한 철학적인 자기 이해에 해당된다. 종교가 기본적으로 믿음이라는 정의적인 요소에 관련되기 때문에 이들의 주체성 이해는 동일성철학의 이성중심주의나 현상학의 자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인간적인 내재성의 원리와 인간을 벗어나는 외재성의 원리 사이에 서서 그 팽팽한 긴장의 끄나풀을 놓지 않으려는 이들의 주체성 이해를 통하여 우리는 이 시대의 새로운 인간 이해의 한 모습을 발견할 수가 있다.


This thesis is an inquiry of ethico-religious metaphysics, for the purpose of new human understanding in our times. Its theme is focused on subjectivity and it proceeds with comparative study between modernism and post modernism. In case of modernism, the pathetic human understanding could be found through Kierkegaard's existential dialectics, in opposition to Hegel's philosophy of the same. In case of post modernism, new understanding of subjectivity could be found through Levinas's sensibility, for the sake of going beyond Husserl's phenomenology. By means of this comparative study it is realized that the love of God and neighbors is common to the human understanding of these two. This fact pertains to philosophical human understanding,formed chiefly by leading human understanding of Judae-Christian western civilization. As a religion relates basically to emotional facts, for example faith and belief, the human understanding of these two philosophers can not but to surpass the egology of phenomenology and the reason-centered philosophy of the same. We can discover the new human understanding in our times in virtue of their thoughts over subjectivity, which dare never to miss the trails of strain between the human principle of interiority and the divine principle of exteri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