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학에서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두려움에 의지하기보다는 자연의 이치와 사회의 원리에 대한 이성적 이해를 통해 유학의 가치관을 설명하려 노력해 왔다. 특히 송대성리학 이래로 上帝나 天命, 天 등으로 표현되던 초월적 존재의 개념은 理, 太極, 道 등 원리ㆍ법칙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대체되어 왔다. 퇴계 이황은 理發, 理動, 理自到 등의 명제를 통해 理氣論 체계에서 理의 역할을 강조하는 한편, 天 또는 上帝에 대한 敬畏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理를 發, 動, 自到하는 ‘活物’로 규정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실천적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이황의 고민이 깔려 있었다. 그러나 ‘活物로서의 理’는 이미 온 우주에 ‘流行하는 天命’의 함의를 내포한다는 점에서 理와 天命(上帝)의 관계는 보다 명확히 설명될 필요가 있었다. 이황의 문제의식은 허목과 윤휴에게 이어져 理는 곧 인간과 感通하는 天으로 환원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고, 이익을 비롯한 성호학파로 이어져서는 理氣 개념이 존재론적 의미와 가치론적 의미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정약용에 이르러서는 理의 절대적 위상을 파기하고 초월적 上帝를 중심으로 이론체계를 재구성하게 되었다.


Confucianists preferred to explain Confucian values through rational understanding the law of nature and the principle of society rather than to rely on the awe of a transcendental being. Especially since Neo-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the concepts of the transcendental being like Cheon (Heaven, 天), the Mandate of Heaven (天命), sangje (Lord on High, 上帝) had been replaced by the concepts of the principle or rule like li (理), the Supreme Ultimate (太極), do (the Way, 道). Toegye Yi Hwang emphasized the role of li in the system of ligi theory, but on the other hand put stress on the respect and awe toward the Heaven or the Lord on High, too. There was Yi Hwang’s worry that it would be hard to get practical effects satisfactorily only with defining li as a living being (活物) which issues (發), moves (動) and approaches by itself (自到). However, considering that ‘li as a living being’ already involves the Mandate of Heaven which prevails over the whole world, the relation between li and the Mandate of Heaven (or Lord on High) should be elucidated more clearly. After Yi Hwang’s thought was succeeded to Heo Mok and Yun Hyu, li was interpreted as a thing that could reduced to the Heaven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human. After Yi’s thought was succeeded to Seongho school including Yi Ik, the concepts, li and gi, divided into the ontological meaning and the axiological meaning. And Jeong Yakyong took over their thoughts and destroyed the absolute phase of li and recomposed his theoretical system with the transcendental Lord on High as the central n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