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0년 충청남도의 읍면을 대상으로 중심기능의 내용과 기능 및 중심지의 계층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기적으로 하위정주체계의 안정화를 위한 전략적 거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보유읍면의 비율을 토대 356개 업종을 분류한 결과, 6개 기능 군으로 구분되었다. 분석 자료는 2000년 사업체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고, 이 자료에서 168개 읍면별 356개 업종별로 사업체수를 추출, 집계하였다. 356개 업종은 표준산업분류 상의 산업세세분류 단위로 한 업종이며, 농어업, 광업, 제조업, 건축 등을 제외한 서비스 업종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기본 연구방법은 각 중심기능별로 이를 보유한 읍면의 비율을 토대로 중심기능 및 중심지의 계층 분류를 하는 중심기능 출현 빈도법을 적용하였다.중심기능들은 보유 읍면비율을 기준으로 6개 기능 군으로 구분되었고, 중심기능 보유 정도와 내용을 기준으로 읍면은 5계층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다시 보유기능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게 되면, I~III계층 읍면과 기타 읍면 두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향후에 진행될 농촌인구의 추가적 감소,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능 고유의 입지-도달체계의 확대, 서비스 이용자들의 공간극복 능력의 향상 등을 감안할 때, I~III계층의 중심지들은 하위정주체계의 안정화를 위한 전략적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cent central place function and hierarchy of rural service centers, chungcheongnamdo, Korea. The study material is extracted from raw data of business survey 2000, and formatted into matrix of 365 business categories by 168 local administrative units. The types of central place functions are classified in terms of how many service centers have it. If a function exists in less centers, it means a higher-order type of function. And the hierarchial position of a service center is determined in terms of how many higher order functions or not. Even though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is not applied, the logics of classification can be said as similar to scalogram analysis. By way of this method, central place fun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6 groups, the hierarchial position of a center is settled down in one of five tiers. To go further from this result, we can suggest that there are two groups of rural service centers, relatively competitive centers and the others. To protect rural people from accessibility problem and deprivation, various policy strategies and initiatives should be redesigned, focusing more on these competitiv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