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및 그 전·후 시기를 중심으로 대전의 도시 형성 및 변화과정에 대해 ‘지명’과 ‘길’을 통한 역사지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전의 도시 역사는 1900년대 초 그 이전에 전혀 중심지가 아니었던 대전천 일대를 출발로 하여 기존의 전통 중심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을 포섭해 나가는 흥미로운 도시성장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때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과 변화, 일본식 동명의 등장 및 확대, 교통 결절지의 이동과 길 체계의 변화, 다양한 도시개조 사업 등은 전통적 공간구성과 단절을 이루면서 동시에 현 대전 모습의 근간이 되는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도시 형성 및 성장과정은 ‘근대도시’로서 대전의 장소정체성 구성을 위한 충분한 역사적 조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제강점기 지명의 변화는 도시의 형성에서부터 성장까지 그 전체적 윤곽을 그리는데 있어서 의미 있는 실마리가 되었다. 이를 통해 지명과 길은 일제강점기 및 그 전·후 시기 도시 형성 및 변화과정을 읽어보는데 있어서 하나의 해석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역사지리학적 접근이 대전뿐만 아니라 타 도시의 사례에도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appearance and the growth of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mainl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at time, Daejeon had grown as a big modern city including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established center of Daejeon in Joseon Dynasty. Very few cities had experienced this kind of process for their urban growth. Especially administrative districts, road networks and place names and urban structures had been changed drastically from the traditional figures and forms. Such changes have influenced on the current Daejeon city as an inertia of place. So Daejeon could be constructed as a ‘Modern City’ for its place identity by these kinds of changes and features which had experienc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e can identify a lot of administrative names of the Japanese style which had appeared for indicating several regions included in Daejeon by the expansion of city. These names reflected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growth of city. So, place name and road network could be a useful means for interpreting the appearance and the change of other c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