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남도의 대표적 수계에 해당하는 영산강과 영호남의 문화가 중첩된 섬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역사문화 자료를 보완·집성하고, 이를 공간별·시대별·주제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어왔던 인접한 수계권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분포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적 분포 양상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역점을 두었다. 그럼으로써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다양한 모습과 특징을 상호 연계시키고, 수계권의 역사·문화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생활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권의 역사문화자원 분포양상과 지리적, 시대적, 공간적 특징을 시각화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관련 학문분야의 지평 확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 시책은 물론, 지역특화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한다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lementarily compile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distributed along Youngsan River, which corresponds to the lifeline of southern provinces, and Seomjin River, where Yeongnam and Honam cultures are overlapped,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m by space, period and subject. Especially, to clar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 two water system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which has been neglected quite much, this study applied a GIS-used spatial analysis technique. Through this technique, this study placed its importance on systema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aspects. In this way, this study attempted to strengthen the mutual link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in these areas, while drawing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se water system areas. At the same time, by visualiz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distribution asp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 basin areas of You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eople’s life zones in south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geographic,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pects to expand the horizon of related academic fields.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even in the aspect of establishing basic data used to locally specialize and activate thes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se areas as well as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