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도심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울산광역시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심의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용도를 구분하였으며, 각 용도별 분포 현황 및 층수, 규모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심지역 토지이용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산광역시 신도심 지역은 필지가 소규모로 공급되었으며, 이로 인해 토지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산광역시 신도심은 주거기능과 도심기능(판매, 업무, 서비스)이 혼합되어 입지하고 있으며, 주민과 이용객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울산광역시와 비교 대상 광역시 신도심 내 입지한 공동주택의 경우 주변이 하천으로 둘러싸여져 있어 양호한 주거환경을 가지고 있다. 울산광역시 지역들의 경우 주변의 하천 등으로 둘러싸여져 있어 도심의 평면적 확산은 불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울산광역시 도심의 경우 저층, 소형 중심의 건축물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입체적인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입체적인 확산을 대비하기 위한 공간 활용 계획 및 관리 등을 사전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As basic research to identify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Ulsan,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Land use of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 consideration to the major functions of the CBD of Ulsan. Then, land use characteristics of the CBD were identified by comparative analysis on distribution patterns, number of building floors, and scales of each land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Because Ulsan consists of small parcels, the city areas where the city lacks land use efficiency were recognized. In addition, the mixed function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sales, business, and service) were identified in the new CBD, and found to be a source of in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r users. In the case of apartments in Ulsan, and other comparable cities, they are considered to possess favor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due to their proximity to streams. However, due to the existence of those bodies of water, the CBD of Ulsan cannot be evenly spread. On the other hand, multi-dimensional expansion is possible because the CBD consists of low-rise and small buildings. Therefore, advanced preparation for spatial applic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an effective multi-dimensional expansion of the C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