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고리타령은 남도잡가의 한 곡으로 육자백이에 이어 연주되는 악곡 중 하나이며, 사설 구성에 있어 판소리 사설을 차용한 점이 독특한 형태로 파악된다. 또한 개고리타령은 경기입창의 악곡과 동일한 악곡명을 가지고 있어 남도잡가와 경기입창과의 관련성이 추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고리타령이 어떠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사설과 음악적인 부분들을 유형화시켜 음악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개고리타령에 사용된 사설은 판소리 계열의 사설, 민요 계열의 사설, 기타 사설로 그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주로 판소리 계열의 사설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정 부분의 정해진 사설을 가지고 가창자가 선택하여 부른다. 한편 사설의 사용양상은 시대에 맞게 현대인들의 취향 및 애호도와 가창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근거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사라지는 사설이 있는 반면, 새로운 사설이 생기는 경향이 보인다. 개고리타령의 받는 소리는 12박 2장단이며, 시작하는 음에 따라 평으로 내는 형, 숙여내는 형, 질러내는 형으로 유형화시켜 볼 수 있다. 이는 사설을 선택하는 경우와 같이 일정 부분의 정해진 선율을 가지고 가창자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개고리타령의 시작 부분은 받는 소리의 변형으로, 장단의 확대와 사설 추가로 1970년대 이후부터 12박 6장단으로 선율이 정형화 되었다. 개고리타령의 메기는 소리는 사설에 따라 장단의 길이가 다르며, 짧게는 12박 4장단에서 길게는 13장단까지 있다. 이러한 메기는 소리는 규칙장단, 불규칙장단, 고정화된 장단으로 나눠 볼 수 있다. 그 중 <서울삼각산아>는 1988년 녹음음반에서 개고리타령의 종지부분에 위치하였다. 이후 <서울삼각산아>는 개고리타령의 종지구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제창으로 부르는 가창 방식과 12박 13장단의 선율로 길이가 고정화 되었다. 그러나 공연시간이 부족할 경우 생략할 수 있고,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되는 현상이 보인다. 이러한 논의는 근대화 이후의 자료에 국한하여 살펴본 것이다. 학계에서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 없지만 편의상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본 부분들이 있다. 그리고 가창자에 따라 개고리타령의 메기는 소리가 너무 다양하여 깊이 있게 살펴보지 못했다. 앞으로 공개되는 유성기음반의 음원자료나 더 다양한 현장자료를 통해 정밀한 분석으로 개고리타령의 총체적인 음악적 면모를 드러내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Gaegoritaryoeng is one of NamdoJapga epic chants that performs after YukjaBaeki, and it can be uniquely characterized into the song that borrows the epic chant of Pansori to compose the chant. As KyungkiIpchang has a identical song name of Gaegoritaryoeng, it in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NamdoJapga and Kyungki Ipchang.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haracters of Gaegoritaryoeng, the changing aspect of music will be examined to patternize the musical categorizes. The epic chant of Gaegoritaryoeng has been disentangl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pic chant of Pansori, the epic chant of Minyo(folk song), and the rest epic chants related. As the result, the epic chant of Pansori has mainly been used in Gaegoritaryoeng, and the vocalist tends to choose particular epic chants that certain parts are classified. Moreover, the aspect of epic chant usage reflects the personal taste of modern people and the preference of vocalists. Therefore, some epic chants were diminished while others were used continually, however new epic chants were derived beside these situation. Batnun Sori (receiving sound) of Gaegoritaryoeng is 12 beats 2 rhythms, it can be divided into flat melodic line, ascending melodic line, and descending melodic line by the sound of beginning. It demonstrates that vocalists select particular part of epic chants choosingly, like as the selection of the epic chant. Moreover, the beginning part of Gaegoritaryoeng has been standardized into 12 beats and 6 rhythms, by the modification of receiving sound with the expansion of rhythms and the addition of epic chants since late 1970s Maeginun Sori (Notching sound) of Gaegoritaryoeng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length of rhythms, there is 12 beats 4 rhythms shortly up to 13 rhythms. These notching sound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regular beat, the irregular beat, and the fixed beat. Among others, <Seoul Samgak Sana>, the recording album in 1988, used Gaegoritaryoeng in the Jong-Ji (period) part. Later on, <Seoul Samgak Sana> was used for the last part of Gaegoritaryoeng and it was fixed into the homophonic vocal method and the length of 12 beats and 13 rhythms. However, it can be omitted by the length of performance, and it was used by the personal taste of vocal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