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릉학산농요는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를 중심으로 전승되어 오던 농요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자연적 전승이 단절된 현재 <강릉학산오독떼기보존회>를 통해 맥을 이어오고 있다. 강릉학산농요는 8개의 기능별로 12종의 노래가 전하고 있다. 오독떼기와 같이 지역적 고유성을 지킨 노래와 잡가, 사리랑에서처럼 외부의 것을 받아들여 토착화한 노래들이 공존하면서 학산농요의 다양성과 독자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학산농요가 인위적으로 전승 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 현재적 모습에 전승자의 지향과 문제의식이 작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한 방향성을 가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오늘날의 농요가 전승과 보존, 관리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공연물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기준을 취했다. 전통성 유지의 원리와 흥미 유발의 원리가 그것이다. 이 두 가지 기준으로 학산농요의 전승실태를 살펴본 바, 현실적 수요에 기반한 자진아라리의 독립적 전승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했다. 반면, 전통성을 훼손한 전승, 대중과의 호흡의 필요성, 자발적 진화 전개의 노력 부족, 세대교체의 어려움 등은 해결해야할 과제로 여겨졌다. 따라서 보존회는 스스로의 역량이 갖는 의미에 보다 주목하고 운영의 방향을 전통성 유지와 흥미유발의 측면에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보존회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 또한 필요하다.


Gangneung Haksan Farmer’s Song is a generic concept of farmer’s song which has been handed down focusing on Haksan-ri, Gujeong-myeon, Gangeung-si, Korea and it has continued through <Gangneung Haksan Odokttegi Conservation Conference> in the present natural transmission are disconnected. Gangneung Haksan Farmer’s Song has 12 songs by 8 functions.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Haksan Farmer’s Song have done by coexisting songs that kept a local uniqueness like Odokttegi and songs which accepted outside things like vulgar songs, arirang and then are naturalized. The fact that Haksan Farmer’s Song has been passed down artificially shows that orientation and awareness of the issues of those who pass down it so it means to need forecast desirable direction. In this paper, today’s Farmer’s song becomes to be the target of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t takes the standards from the fact that Farmer’s song exists as performances. Therefore, the standards are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raditionality and motivating interest By two standards, as seen the transmission status of Haksan Farmer’s Song, independent transmission movement of Jajin Arari based on the actual demand seemed to be evaluat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undermined transmission of traditionality,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with public, lack of effort on spontaneous evolution development and difficulties of generational change were regarded as challenges to be solved. Therefore, the conservation conference has more attention in meaning with own competence and needs to check the direction of operating it in terms of maintaining traditionality and motivating interest. In addition, the active support of local government to back the conservation conference institutionally are also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