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향토민요의 음악적 연구 현황을 보고서 및 악보집, 각편, 교육, 분석이론의 항목 순으로 정리하고, 향후 그 음악적 과제를 생각해본 글이다. 민요의 보고서 및 악보집 연구는 1960~7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2000년대 들어와 본격적으로 음악적 동의 및 방법론을 마련해가고 있다. 이 분야는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나머지 지역은 아직도 많이 미진한 상황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민요 문화가 가장 다채롭게 발달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지역은 『한국의 민속음악』(1994) 이후 아직 이를 뛰어넘는 연구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즉 2000년대 들어와 경기 외 지역의 연구는 거의 답보 상태로, 전국의 민요가 궁극적으로 더 많은 관심과 집중 속에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어느 정도 완성될 때, 각 지역 민요의 고유한 특징 뿐 아니라 전국 민요의 음악적 관계 및 그 지도가 제대로 보이면서 궁극적으로 민요의 음악적 연구가 回通되는 단계가 올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이를 토대로 각편 연구가 보다 정밀하고 폭넓게 진행될 조건들이 마련될 것이며, 나아가 민요의 음악적 이론 및 분석론도 서서히 정립되어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도 제재 곡으로 보다 재미있고 다채로운 소리들을 많이 발굴할 여지가 생길 것이다. 다만 지금까지 조사, 수집된 방대한 기초 자료들이 향후 한층 심화된 향토민요 연구의 근간이 될 터인데, 현재는 접근하기 어려운 자료들이 많아 보다 많은 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향토민요의 각편 연구는 크게 개별 소리유형과 지역별 소리유형 및 그 전승양상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경향이 보인다. 이 분야는 90년대 이후, 거의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되고 있으며, 연구 대상이 다양해지고 지역은 한반도뿐 아니라 국외로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분야 역시 아직 보고서 및 악보집 연구와 맥을 같이하며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제일 많아 연구 지역의 편차가 심한 편이며, 천착할 소리 유형들도 많이 남아있다. 또한 전승 문제 및 지역 소리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보다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현장과 밀접하게 관련된 연구 분야라, 현재 빠르게 현장이 소멸하는 상황 아래 연구를 깊이 천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각편 연구는 민요의 지역성 및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분야라, 앞으로 문제의식이 더욱 깊어져야 하겠다. 향토민요의 교육 분야 연구는 교육 지도 및 활용방안, 교과서 제재곡 개발 및 분석, 교과 및 교육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논의가 주요 경향으로 나타난다. 이 분야는 향토민요가 진정 민중들의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용 민요로 통속민요가 많이 활용되는 현실에 대한 반작용의 흐름이 보인다. 향토민요를 교육용으로 개발, 활용하는 것도 2000년대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기존 조사 자료를 더 적극 활용하여 보다 지역적으로 광범위하게, 그리고 교육적으로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소리를 많이 발굴하고, 올바른 교수법을 연구하는 작업이 절실하다. 향후 향토민요의 전승은 교육과도 불가분의 관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 민요교육 연구는 교육 관련 연구자들에게 거의 국한되어 있는 연구 특성 상 단발성 연구가 많아, 우선 보다 많은 이들의 관심이 필요한 분야라 여겨진다. 향토민요의 분석이론은 현재 음조직론, 선율론, 장단론, 시김새론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연구자의 관심 분야에 따라 깊이 천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 통일되어야 할 이론-특히 음조직론-과 분석적 시도들은 여전히 산재해있다. 즉, 향토민요는 채보와 분석 및 해석, 그리고 방법론에 대해 한국음악 고유의 보다 다양한 연구 시도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학문적 소통 및 공감대를 더 적극적으로 마련해 가야한다. 또한 향토민요는 음악과 함께 많은 역사적 사실과 민족문화의 의미를 담고 있어, 사회문화적 담론, 민족 음악적 담론 등 앞으로 외연을 보다 확대하는 연구 작업-소위 text와 context이론의 융합-도 꾸준히 해나가야 한다. 향토민요의 음악적 연구는 이제 보다 진일보된 결과물을 준비해야 할 시기로, 모든 분야가 심화발전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 민요의 현장이 끝물이라 연구가 끝나가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채록된 많은 기초 자료들을 차분히, 그리고 면밀히 觀해가야 할 단계에 왔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현장과 소통될 수 있는 상황도 아직 남아있어, 이 또한 현시대에 맞춰 잘 이용해야 할 것이다. 이는 민요의 음악적 연구가 정말 본게임에 들어가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a musical research situ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study next research subject. The musical research situ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kinds of study topic until up to now:(1) A study on a kind of report and music book, which are based on the massive materials gone through recording in the field; (2) A microscopic study on an individual or regional folk songs; (3) A study on an educational application and introduction of folk songs; (4) A study on an analysis theory concerning the scale-Tori토리, melody, beat and rhythm-Jangdan장단, a kind of ornaments-Sigimsae시김새. Virtually every field of musical study was began in the 1970~80s, but since the 2000s, it is developing and deepening in earnest. First, a study on a report and music book has thus far been concentr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which demands the wider expansion of regional scope and depth henceforth. Secondly, a microscopic study on an individual or regional folk songs are varying an object and extending the area range in recent days, but the individual and regional target is much still to do. Thirdly, a study on the field of education is required to discover the more diverse folk songs that is educationally effective and interesting to learn, and develop the correct method of teaching. In future,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is assum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chool education. Lastly, a study on an analysis theory is deeply done these days, but a lively controversy on a scale is still being achieved and an attempt must be made in various studies in a manner of korean music. In the last analysis, it is high time to prepare a more advanced study in every field of traditional folk songs. Further and closer studies are needed to grasp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traditional folk s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