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사회적 자본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을 논의하고 주장한다. 첫 번째, 기존 사회적 자본 논의들에 있어 나타나고 있는 개념적 혼란에 대해 본고에서는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자체는 그 역할과 효과의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양가적인 속성을 가졌다는 점과 그것의 상황 의존적 속성을 지적하고, 이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개인 수준의 ‘관계 자본’적 속성과 보다 공공적 수준의 ‘시민적 자본’의 속성을 구분할 것을 제안한다. 두 번째, 사회적 자본이 중요해지는 맥락은 기본적으로 시민사회의 구조와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계급론에 기반한 시민사회론 대신 개인들의 이해관계의 얼개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시장적 관계’에 기반한 시민사회 모형을 제시한다. 이 틀에 맞추어, 어떻게 개인들 간의 관계 자본이 시민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는가의 예로서 토크빌의 ‘계몽된 자기 이해관계’ 및 공공적 참여의 논의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토크빌의 논의와 최근 OECD 국가들의 사례들을 들어 본고에서는 시민적 자본의 두 가지 필요조건으로서 첫째 연결과 신뢰의 반경이 혈연 등을 벗어나는 보편 시민들 간의 연결과 신뢰여야 한다는 점과 둘째 시민 결사 및 연결의 구성이 범계층적(cross-class)이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본고의 마지막 논지로서, 보다 역사적 변화의 맥락에서 지난 세기 후반에 들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유연 레짐’의 경향성이 한편으로는 마켓 원리의 강화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사회 자체의 속성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검토하면서, 그에 따라 (OECD국가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의 새로운 유형, 즉 ‘연대적 개인주의’라는 식의 새로운 양상이 나타나게 되는지를 논의한다. 신뢰와 연결 등 사회적 자본의 하위 요소들이 어떻게 보다 공공적인 순기능의 시민적 자본으로 발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보다 역사적이고 거시적 맥락에서 광의의 ‘시장적 관계’의 변화 양상을 고려하면서 진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argues three points i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First, we point out that much confusion in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is due to the inherently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constituting elements (i.e., trust, network, norm of reciprocity) of the term “social capital”, and to the contingent nature of their effects. We propose in a more analytic way a distinction between ‘relation capital’ which operates in a personal level and ‘civic capital’ which captures more public effects coming out of specific composition of relation capital connections. Second, referring to the fact that the significance of social capital varies depending on the changing historical articulation of civil society, we propose a new model of civil society conception based on ‘Market-mediated social relationship’. Relying on Tocqueville’s work, we expound how civic capital could be formed out of ‘properly understood self interest’ and voluntary civil participation in public issues. Two necessary conditions are derived: 1) the radius of trust or connection must go beyond the blood ties and other tribal-era anchors, and 2) while it is a connection among ‘generalized others’ the composition of it must to certain extent be ‘cross-class’. Lastly, in a more historical perspective we discuss how the tendency toward the ‘flexible regime’ of late 20th century on the one hand reinforces the market force in both economic and noneconomic areas and on the other hand pushes strong pressure upon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ivil society. Taking this current historic trend into account, we can appreciate more effectively the newly emerging phenomenon of ‘solidaristic individualism’ and the changing nature of soci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