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칼 맑스 이래 현대 사회학은 유교와 자본주의 발전의 관계에 대하여 두 가지 주장을 제출하였다. 하나는 유교와 근대 자본주의 간의 불양립성의 테제이다. 맑스는 현대 자본주의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보편적 범주로서 “노골적인 이기심”과 “현금 계산”을 고양시키고, 윤리적 및 종교적 열정마저 “이기적 타산의 차디찬 얼음물 속에” 던져버릴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베버는 근대 자본주의를 “합리적 질서의 차디찬 해골 손”이라고 특징지었다. 하버마스도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병리를 생활세계가 화폐와 권력의 명령에 복종하는 “내적 식민화”에서 보았다. 그리하여 현대 사회학의 통찰에 따르면, 유교적 전통문화는 자본주의 발전의 과정에서 자신을 유지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근대 자본주의가 합리성에 의거하지 않는 일체의 의식과 행동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유교가 강조하는 효성과 공동체적 연대는 합리성과 개인주의에 기초한 근대 자본주의와 갈등하지 않을 수 없다. 또 하나의 주장은 베버에 의해 고전적으로 제출된 유교 테제이다. 동아시아에서 근대적 합리적 자본주의가 출현하지 못한 기본 원인은 무엇보다도 동아시아인들에게 널리 퍼져 있는 유교 윤리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베버의 유교 테제를 추종하여, 근대화 이론가들은 유교 전통의 청산이 근대화의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 지구화 물결 속에서 자본주의적 발전을 고도로 성취하고 있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과연 유교 전통은 쇠퇴하였는가? 한국 사회는 더 이상 유교 사회라고 불릴 수 없는가? 필자는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2005년 여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현대 사회학의 주장과는 반대로 한국은 ‘범주적 유교 사회’라고 일컬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전통적 유교 예절과 유교적 가치관이 여전히 대부분의 한국인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한국인은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심지어 개신교도들도 60% 이상이 제사를 지내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 유교 예절을 시대에 뒤떨어진 고리타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한국인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칙“이라고 인정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에 대한 충성’, ‘효도’, ‘어른 공경’, ‘민본 사상’ 등 유교적 가치를 “미래의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남성 우위’와 ‘여성 차별’과 같은 비민주적인 보수적 전통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반대하고 있지만, 불교도들은 여전히 그러한 보수적 전통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기독교의 외투를 걸친 유교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공동체적 연대와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전통적 유교 문화는 자본주의적 지구화 시대에 존립하기 어렵다고 전망한 현대 사회학의 통찰을 반박한다. 비록 불교도와 기독교도가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급속한 산업화의 결과 유교를 사회적 표면에서는 보기 어렵게 되었지만, 일상생활의 규범 원리로서 현대 한국인에게 지배적 영향력을 갖는 것은 여전히 유교임이 확인되었다. 지구화의 물결이 유교 전통의 존속을 훼손시키지 못하였음을 본 연구는 말하고 있다.


Contemporary sociology since Karl Marx has advanced two asser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Confucianism to capitalistic development. One is the thesis of incompatibility between Confucianism and modern capitalism. Marx anticipated that modern capitalism would enhance “naked self-interest” and “callous cash payment” as an universal category of human action and thinking, and drown even the ethical and religious fervor “in the icy water of egotistical calculation”(Communist Manifesto). Max Weber characterized modern capitalism as “the cold skeleton hands of rational order.”(RS1) And Habermas also saw the pathology of modern capitalistic society in the “inner colonization” which life world obeys the orders of money and power. So, according to the insights of contemporary sociology,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is hard to maintain itself in the process of capitalistic development, because Confucianism stresses filial piety and communitarian solidarity which must conflict with the modern capitalism based on rationality and individualism. Another is Confucianism-thesis, classically set forth by Max Weber. The basic cause of non-birth of modern capitalism in East Asia was found above all in the Confucian ethic that spread widely among people. Following Weber’s Confucianism-thesis, modernization theorists maintain that the wiping out of Confucian tradition is a precondition for modernization. Then, Has Confucian tradition actually weaken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at has highly accomplished capitalistic development in the wave of globalization? Can’t Korean society be called Confucian society more? In order to reply to this question I have conducted a survey in summer, 2005. The results of survey show, contrarily to the insights of contemporary sociology, that Korea can be called “a paradigmatic Confucian society”, since traditional Confucian proprieties and Confucian values still dominate the way of thinking and behaviors of most Koreans. Above all, most respondents perform ancestor worship ceremonies, including even over 60% of Christians. They believe that traditional Confucian proprieties are minimum rules to keep order in our society. Those who regard these as “backward, musty things” are only 13%. Moreover, Confucian values such as ‘allegiance to the country’, ‘filial piety’, ‘respect for the elders’, ‘people as basis’, etc. are considered as useful to construct a desirable society of Korea in future. Although most Koreans show a strong objection to the undemocratic conservative traditions such as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nd gender discrimination, Buddhists still seems to adhere to such conservative traditions. And Korean Christians can be regarded as “Confucian dressed in Christian robes.” So, these results refutes the insights of contemporary sociology that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hich set much value on community and personal relations would be hard to exist in the capitalistic globalization. Although Buddhists and Christians hold a majority in population, and Confucianism has been hardly found at the social surface as a consequence of rapid industrialization. it is Confucianism that has a dominant influence over contemporary Korean people as a guiding principle in everyday life. So,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wave of globalization could not destroy the existence of Confucian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