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의 성역할 변화를 여성의 직업 역할과 남성의 가족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성역할 변화에 대한 대응을 국가, 기업, 가족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그동안 여성의 직업 역할에는 큰 변화가 있었으나 남성의 가족 역할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의 정책과 관련해서는 보육 정책과 휴가 정책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보육 정책의 최대 쟁점은 보육 서비스 공급과 관리에서 국가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휴가 정책의 경우 제도적 틀은 갖추었으나 제도의 실효성을 갖추는 것이 향후 과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다음으로 우리는 기업의 가족 친화 제도에 대해 검토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이제 기업도 돌봄 노동에 참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국가의 법제화 노력으로 제도적 기반은 마련되었으나 제도의 시행과 이용은 별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가족 차원의 대응을 검토하였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여성의 이중 노동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남편의 가사 노동 분담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남편이 가사 노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사 노동에대한 남편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할 필요가 있고, 남편의 가사 노동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돌봄 노동의 사회화 문제가 우리 사회에서도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그중에는 돌봄 노동을 국가가 주도적으로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기업이 일정 부분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 문제는 국가, 기업, 가족이 서로 협력해야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women’s work role and men’s family role in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state, corporation, and family to these chan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great change in women’s work rol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en’s family role. In relation to the state policy, we reviewed child care policy and leave policy. We found out that the hottest issue of our child care policy i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state in providing and managing child care service. In case of leave policy we found out that even though we established the institutional frame, our future task is to make it effective. Next, we examined the family-friendly institution of corporations. We could know that the corporation is demanded to participate in caring labor as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creases. In the meantime the institutional base was provided 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state legislation, but we ascertained that the enforcement of institution is one thing and the utilization of the institution is another. Finally, we examined the responses of family. We found out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reducing married women’s overburden of work and family roles is husband’s sharing of household labor. We also confirmed that husband’s awareness and attitude on household labor needs to be changed, and that various methods which can increase the husband’s ability in household labor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for husband to participate in household labor. The problem of socializing caring labor has been raised in our society continuously. These include the insistences that the state has main responsibility in caring labor, and that corporation has some responsibility in it. However, it is my position that this problem can be solved when state, corporation, and family cooperate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