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제도의 현대적 변화상은 “유연화” 논제로 대변할 수 있다. 사회제도적 유연화는 1970년대 중반 생산 영역에서 일어난 축적 체제의 전환으로 소급된다. 경직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디즘적 축적 체제가 위기에 직면하자 “유연적 축적 체제”를 기반으로 한 자본주의의 재구조화가 착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보혁명기의 기술 발전이 그에 가세함으로써 소품종 대량생산을 다품종소량생산으로 대체하는 생산 활동의 유연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생산 활동의 유연화로 종전의 경직적‧수직적‧폐쇄적 직무 구조가 존속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평생직장의 개념이 퇴색하여, 안정적 고용 상태하에 예측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기보다 끊임없는 도전과 모험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처럼 유연화는 노동 세계에서 발원한 것이지만, 추후 가정, 교육제도 및 여가 생활로 파급됨으로써 정주적 형태를 벗어난 유목적 삶을 지향하는 사회제도 전반의 유연화를 초래해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산업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한계에서 포스트포디즘이라는 유연적 축적 체제가 태동하는 과정을 기술 변화와 관련지어 개괄적으로 논의한 후, 유연화가 사회제도 전반으로 외연되는 양상을 노동, 교육 및 일상생활의 3대 영역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유연 사회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검토하면서 합리적 대응 방안을 탐지하였다.


The institutional transformations of contemporary societies can be subsumed under the theme of flexibilit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flexibility may be traced back to 1970s when capitalist restructuring was initiated by the regime of flexible accumulation. The tendency toward flexibility has been accelerated by the application of advanced IT to the world of work since the outset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Nowadays flexibility turns out to be an alternative organizing principle that enables us to explain current change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examine factors and conditions that gave rise to the formation of flexible social order with respect to three main institutional arenas of the family, education and non-working sector. Then, expected benefits and problems of institutional flexibility are discussed and plausible coping strategies are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