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특정한 제도적 모델의 확산 현상을 조직의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도적 행위자의 특성과 그들이 지지하는 제도적 논리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제도적 행위자들은 지배구조 내 행위자의 구조적 지위와 분리된 행위자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특정한 제도적 논리들을 지지하거나 혹은 거부하기도 한다. 특정한 제도적 논리에 대한 지지 혹은 거부는 특정한 제도적 모델을 수용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정당성을 부여하게 된다. 우리는 한국의 대학이라는 조직필드(organizational field)에서 관찰되는 사회복지학과 확산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통해서 대학의 지배구조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재단과 총장 조직의 개별적인 특성과 그와 연관된 제도적 논리가 각 개별 대학이 사회복지학과를 개설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또한 거시-제도적 과정들, 조직의 정치적 동학, 다양한 제도적 행위자들의 역할 등이 갖는 일반적인 함의를 논의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usion of social welfare departments in terms of agency-based traits among institutional agents who play important riles in the governance structure inside an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logic that such agents support. Our framework enables us to examine how and why groups of institutional agents who posses their own individual traits, although they are in the same structural positions in an organization, promote or reject particular institutional models and logics.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iffusion of social welfare departments in the organizational field of Korean universities, we show that differences in boards of trustees and university presidents in a university affect the likelihood that it addpts a social welfare department. We discuss general implications for macro-institutional processes, organizational political dynamics, and roles of multiple institutional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