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은행의 다각화를 자산다각화와 수익다각화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을 추정하고 두 형태의 다각화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은행의 다각화 구조를 파악한다. 자산다각화의 경우 은행의 수익성 제고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수익다각화의 경우 은행의 수익성 제고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같은 자산다각화와 수익다각화 간의 차이는 국내 은행의 경우 자산다각화와 수익다각화가 동행하지 않는데 있으며 규모가 큰 은행일수록 상대적으로 자산다각화의 수준은 낮은 대신 수익다각화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은행의 자산증가율이 높을수록 자산다각화 수준은 높은 대신 수익다각화 수준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산다각화와 수익다각화 모두에서 은행의 이익률 변동성과 도산확률을 낮추어 주는 건전성 제고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classifies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banks into two types: asset diversification and revenue diversification, and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 types of diversification on bank profitability and soundnes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asset and revenue diversification is explored. In improving the probability of banks, we do not find evidence to support the role of asset diversification while revenue diversification has strong effect. The reason for this empirical results is that asset and revenue may not take the same direction when domestic banks carry out diversification. Especially for bigger banks, the degree of revenue diversification is relatively higher but that of asset diversification is low. And the banks whose asset growth is strong show a relatively higher degree of asset diversification but their degree of revenue diversification is quite the opposite. In the respect of bank soundness, both types of diversification do not deliver positive effects on the bank stability and Z-score(bankruptcy prob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