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겉으로 나타난 고려 팔관회의 의례만을 들여다보면, 왕권의 과시 내지 강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례로만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에 대해 민족고유의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제천의식으로 보거나 불교 행사로 보는 두 견해가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교의 비본질적인 요소를 가지고 고려 팔관회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한다. 고려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에서 불교의 비본질적인 요소를 걷어냈다고 하여 일련의 주장처럼 고려 팔관회가 곧바로 전통적인 祭天행사일 수는 없다. 본 연구는 고려 팔관회가 과연 제천행사였는가? 라는 질문을 다시 하고, 그에 실질적인 답을 하고자 한다. 고대 神敎의 제사는 迎神 – 娛神 – 神意 청취의 세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이 세단계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왕이 天神의 대리자임을 확인하고, 主祭者로서 지녀야 할 王의 神性을 담보하였다. 또 제사의 대상과 祭場이 갖춰졌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고려 팔관회가 祭天儀式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팔관회는 고려의 주체성과 자주성을 대표하는 국가행사이며, 그 팔관회를 팔관회답게 하는 것은 바로 百戱歌舞에 있다. 고려의 팔관회는 한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는 固有의 祭天儀式인 것이며, 그 정통성의 주요근거는 가무에 있다고 보았다. 가무를 통한 팔관회 의식의 극치는 저 하늘로부터 만물에 이르기까지 和氣가 두루 통하여, 저마다 喜悅의 충만함에 이르는 데 있다. 고려 팔관회는 왕조의 시작과 함께 쇠퇴를 맞이할 때까지 유지하였던 국가행사였다. 불교가 신앙되고 중국도교가 행해지며 유학의 사상이 자리 잡던 시대에 고려 팔관회는 고려의 중심을 지탱하던 것이었다. 그 중심에 神敎가 있다.



从表面上看, 高丽八关会仪式是以王权的炫耀乃至加强为目的而举行的仪式. 而对于这种八关会的宗教性质根据其民族固有的信仰为基础却存在两种分歧, 一个是基于民族固有信仰的祭天仪式, 另一个则是佛教活动. 本研究试图脱离以佛教的非本质因素理解高丽八关会的思想束缚. 即使从高丽八关会的宗教性质中除去佛教的非本质因素, 也不能视为高丽八关会就是一系列主张中的传统祭天活动. 本文中将再次提出高丽八关会是否真的是祭天活动的问题, 并引出其实质性答案. 古代神教祭祀的一般步骤为迎神–娱神–听取神意等三个阶段. 本文首先考虑以上祭祀三步骤展开了进一步的阐述. 为此, 确认王就是天神的代理人, 并保证了作为主祭者需要承担的王的神性. 与此同时, 还确认了祭祀的对象和祭场. 通过这些可以掌握高丽八关会作为祭天仪式所具有的意义. 八关会是代表高丽主体性与自主性的国家典礼, 举行像模像样的八关会取决于百戏歌舞. 高丽八关会是继承一个民族历史与传统的固有祭天仪式, 其正统性的主要依据就在于歌舞. 通过歌舞体现出来的八关会仪式的极致就在于, 天地间的万物互通和气, 处处洋溢着喜悦之情. 高丽八关会是伴随着王朝诞生与衰退整个过程的国家典礼. 信仰佛教、盛行中国道教、儒学思想深入人心的时代, 八关会仍然维持了高丽的中心. 神教就存在于其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