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보고하고자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함에 있다.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19편을 선정하고, 각 연구에 포함된 여러 변인의 ‘표준화된 평균차 변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중ㆍ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범주형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학교급, 성별, 숙제부여 여부, 프로그램 효과 영역 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연속형 변인(프로그램 운영 횟수)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중ㆍ고등학생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57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그 효과가 중간이상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 관련 매개변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범주형 변수에 따라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첫째, 미게재 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영역을 크게 학업성취도, 인지, 정의, 행동 영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행동적 영역,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학업성취도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의적 영역의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학습태도, 동기,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 과목별로 효과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어, 과학, 수학 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숙제를 부여한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부여하지 않은 프로그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속변수와 관련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길수록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의 결과가 중등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primary studies' results for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program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alculated 'standardized mean-change difference effect size' for 19 primary studies including overall effect size, effect size of sub-group analysis, and meta-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was .578, and it was positive and median effect. Second, the effect of unpublished studies wa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peer-reviewed articles. Thir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program was psycho-motor,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Fourth, in the affective domain, the effects wa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self-esteem was from the highest to lowest. Fifth, the effect of English was larger than science and math. Sixth, program with homework was more effective than program without homework. Finally, meta-regression result showed as the number of instruction increased,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