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영재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초등학교 영재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및 직무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지도경력에 따라 전문성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문성 인식 하위영역 중 교과지식, 교수전략에서의 전문성 인식에서 경력 5년 이상인 교사가 1년 미만인 교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그러나 연수경험에 따라서는 전문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재 연수경험에 따라 영재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중 영재교사로서의 가치 및 보람에서의 직무만족도는 심화연수경험자가 기초연수경험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그러나 영재 지도경력에 따라서는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셋째, 영재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는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5), 영재아 이해, 상호협력에 대한 전문성 인식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 보상과 책무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영재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이 담보되어야 하며, 교사를 위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제공이 선행되어야 하고, 영재교사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ary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about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on element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who instructed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was carried out. For analysis, 100 copies of questionnaire papers were colle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WIN 17.0 program.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ifted education careers(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raining experience(p>.05). Among the sub-domain of professionalism, the recognition on knowledge in the curriculum of gifted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s who had more than 5years teaching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than that of teachers who had less teaching experience. Second, the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aining experience(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gifted education careers(p>.05). Among the sub-domain of job satisfaction, the values and rewards as a gifted education teach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raining experience. It showed that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intensive training felt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basic training. Third,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be elevated, the divers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provided, and information among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shared by forming th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