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역사사실과 고전 자료를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하는 문화콘텐츠 사업이 활기를 띠면서 그 기초작업으로서 고전 자료를 정리, 번역,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고전 자료를 현대적으로 변용하기 위해서는 문헌(혹은 비문헌) 자료들을 1차 가공하거나 2차 가공하는 일이 선행되거나 적어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1차 가공은 문헌정리(목록화, 표점, 색인, 전산화 등등)를 가리키고, 2차 가공은 주석과 번역을 뜻한다. 본 논문은 일본과 중국의 고전 번역과 정리 실태를 개괄하고, 그로부터 우리나라에서 한문고전을 정리하고 번역하는 방안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추출하였다.일본은 ‘抄’를 통해 중국고전을 자기 것으로 삼아 왔다. 그리고 에도시대에는 목판 인쇄술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각종 중국고전에 訓點을 가한 책을 출판하였다. 또한 17세기 말, 오규 소라이(荻生徠)는 중국어를 외국어로 인식하고 번역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이후, 근세에 들어와 일본은 각종 문헌자료의 정리, 목록 작업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1909년부터는 후산보오(富山房)의 『한문대계(漢文大系)』 22권과 와세다대학출판부(早田大學出版部)의 『漢籍國字解全書:先哲遺著』가 간행되기 시작하여, 고주(古注)와 신주(新註)를 종합하고 일본의 역주(譯註) 업적을 참고하는 방법이 확립되었다. 이후, 각 연구자나 연구단체가 과학연구기금 등의 지원을 받아 관련 분야의 고전을 전문적으로 번역하고, 그와 동시에 굴지의 출판사에서 자국의 고전과 중국의 문사철(文史哲) 고전을 선별하여 역주한 총서를 간행하여 왔다. 중국의 경우는 乾嘉學派 이래 古籍整理 방면의 경험을 축적하여 왔다. 건가학파는 校勘, 輯佚, 辨의 방면에서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다. 특히 乾嘉學者는 校勘의 방법을 운용하여 秦漢 이래의 子書들을 모두 校訂하거나 字句를 심리하였으며 章節을 조정하였다. 그 뒤 臺灣國立編譯館과 中華人民共和國 정부는 고적 정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1958년 國務院古籍整理出版規劃小組(‘古籍小組’)는 전국적 규모의 고적정리 계획과 출판을 지도하였으며. 1962년, 1982년, 1992년에 각각 전국 규모의 古籍整理出版規劃會議가 개최되었다. 古籍小組는 1958년 성립된 이후 다섯 차례의 전국적 계획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北京大學을 비롯하여, 中華書局, 人民文學出版社, 上海古籍出版社 등 주요 출판사에서 고전의 표점본과 교주본을 속속 출간하여 왔다. 또한 1984년부터 貴州人民出版社는 문사철의 각 고전들을 현대어로 번역하여 ‘中國歷代名著全譯叢書’를 간행하고 있다. 또한 2008년에 북경대학이 주관하고 中華書局에서 간행한 儒藏精華本의 제1차 간행물을 보면 繁體字, 縱版, 校點·校勘·標點·分段을 가하고 있다. 한문고전을 橫版으로 엮고 간략한 주석만을 붙이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이어서, 향후 한문고전 정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한문고전의 번역은 주로 학술번역에서 이루어지는 직역과 주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의역이 모두 필요하다. 직역은 원문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의역은 그 자체가 하나의 창작으로서 감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직역의 경우는 자료의 기초적 가공이라는 측면에서 완전한 주석을 곁들여 두어야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이다. 이에 비하여 의역은 가능한 한 원문의 뜻을 번역자 스스로의 사상과 심리로 재해석해서, 그 오묘한 뜻을 현대의 독자에게 생생하게 전하여야 한다. 금번에 발족하는 고전번역원의 경우는 학술번역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번역은 한문고전을 校點·校勘·標點·分段하는 기초적인 연찬 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의 각국은 각자의 경험과 방식, 목적에 따라 자국의 현대어로 고전을 번역해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의 경우는 한국학과 관련된 한문고전만이 아니라, 한국학의 토대를 이루는 한문고전도 번역과 정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Lately, the culture contents business effervesce that transmutes into history truth and old book data by modern text. As the spadework, a discussion smartened that is about methods old book data’s arrangement, translation, processing. To transmute old book data modernly, must be abreast at least whether the first process or work that process the second go ahead. The first processing indicates literature arrangement(list work, punctuation mark, index, computerization and so on), and the second processing intends annotation and translation. This research generalize old book translation and arrangement’s actual conditions in Japan and Chinese. And from it, drew elements that aid to method that arrange and translate chinese writing old book in our country. Japanese had treated Chinese canonical works in their own way, ‘Cho(抄)’. Also during Edo period many Hunjeom(訓點)-annotated Chinese canons had been published owed to the development of woodblock printing. Additionally in the late 17th century, Ogyu Sorai(荻生徂徠) had open a new paradigm of translational culture by understand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fter that, in modern age arranging and listing all kinds of documents had been advanced in Japan. Especially publishing 22 volumes of Hanmundaegae(漢文大系) by Husanbou(富山房) and Hanjeok- gukjahaejeonseo(漢籍國字解全書): Seoncheolyujeo(先哲遺著) by the publishing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Japanese had formulated the way of putting old-notes and new-notes together and referencing archived translation and annotations. Since then scholars or researching organizations supported by scientific research capital has translated the relevant canonicals professionally, and prominent publishers has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series of canon selected from their archives and Chinese Literature·History·Philosophy(文史哲) archives. In the case of China, the experience of arranging archives accumulated since the Geonga(乾嘉) school. They achieved fruitful results in the field of recension(校勘), Jipil(輯佚), Byeonui(辨偽). Particularly they used the method of recension(校勘) to revise, examine words and phrases, regulate chapters and verses of all Jaseo (子書)s which had written after since Jin-Han(秦漢). After Geonga(乾嘉), National office of Editing and Translation of Taiwan(臺灣國立編譯館) and the govern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中華人民共和國) has made an effort for the arranging archives enterpris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unded National Organization of Ordering and Planning of Arranging Canonical Archives(國務院古籍整理出版規劃小組) (‘Gojeoksojo古籍小組’) in 1958 to coach to plan the arranging and to publish books. Also the Conferences of Ordering and Planning of Arranging Canonical Archives(古籍整理出版規劃會議) were held in 1962, 1982, 1992. Gojeoksojo(古籍小組) has planned national road-map 5 times since its foundation in 1958, using those as guidelines, prominent publishers like the publishing department of Peking university(北京大學), Jyounghwaseoguk(中華書局), Inmin- munhakchyoulpansa(人民文學出版社) and Sanghaigojukchoulpansa(上海古籍出版社) has published punctuation version and recension version of canons. Guijyouinminchyoulpansa(貴州人民出版社) has published the Series of Completely Translated Chinese Historical Great Books(中國歷代名著全譯叢書) since 1984 which includes canons from Moonsacheol(文史哲) translated into modern Chinese. In the field of translating Chinese canonical works, the literal transl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and the liberal translation for the public at large both are essential. The literal translation is needed for accurate understanding for original verses, and the liberal one can be counted as an creative work of translator. Literally translated materials are highly valued only if complete annotation added regarding that literal translation is basic raw material.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liberal translation translator should reconstruct the work by his thought and mind to transfer delicate meanings to readers vividly. Newly founded the Organization of Canon Translation(古典飜譯院) should focus on the purpose of scientific research. Each country of East Asia have to respectively translate canons into their modern languages according to respective experiences, methods and purposes. In the case of Korea, we should target not only directly Koreanology-related Chinese canons but also those had formed the basis of Korea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