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묵재일기』에는 거문고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琴과 玄琴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伽倻琴을 琴이라고 줄여서 표기한 경우는 없다. 이는 굳이 玄琴이라 하지 않고 琴으로 줄여서 표기해도 그것이 거문고를 뜻하는 데 용어상의 혼란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 16세기에는 琴과 玄琴이 서로 등식 관계의 용어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16세기에 사대부들이 그들의 탄금 취미를 위해 주로 선택한 악기는 玄琴과 短琴이었다. 玄琴이 5척인데 비해 短琴은 3척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 짧고 가벼운 거문고였다. 그래서 현금은 주로 집 안에 두고 사용된 반면, 단금은 휴대에 용이한 악기여서 이문건은 야외의 정자나 연회의 자리에는 대부분 이 단금을 들고 가서 연주하곤 했다. 단금은 현금과 마찬가지로 6줄을 갖춘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맨 바깥쪽 武絃을 제거해서 5줄로 이루어진 五絃琴도 유통되고 있었다. 琴을 제작하는 방법과 과정은 예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 바 없었다. 琴材와 棵, 그리고 여러 장식들을 깎고 다듬어서 이를 아교로 붙여서 하나의 琴을 완성하기까지는 품이 많이 들고 정교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문건처럼 사대부가 직접 琴을 제작하고 수리하는 일에 종사한 사례도 더러 있었지만, 이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던 것은 아니다. 琴 제작의 실제 작업에는 주로 公私 노비들이 동원되었다. 특히 敎坊이 설치된 지방 관청에서는 기생들의 악기를 공급하고 수리하기 위해서는 악기 제작 능력을 갖춘 匠工을 반드시 두어야만 했다. 그 역할을 경상북도 尙州에는 琴工이, 星州에는 木匠과 接琴奴 등이 맡아 하면서 官長의 명에 따라 사대부들의 악기 제작 요구에 부응하기도 했다. 이문건은 성주에서 생활하는 동안 적어도 短琴 4개, 伽倻琴 1개, 月琴 1개, 玄琴 1개, 大琴 1개 등 8개의 악기를 제작했고, 月琴 2개, 短琴 3개, 玄琴 5개 등 10개의 악기와 5개의 琴材를 다른 사람들에게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악기를 수리해 주거나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의 琴을 빌려 주는 경우도 허다했음을 일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문건에게서 琴을 받거나 빌려 쓴 사람들은 주로 성주 인근의 地方官이나 士族으로서 이문건이 유배생활을 영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거나 각별한 친분관계를 맺은 사람들이었다. 그런 점에서 이문건이 성주 유배 생활 내내 악기 제작에 몰두한 까닭은 그것이 유배자로서의 시름과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지만, 악기를 매개로 하여 탄금취미를 공유하는 관리나 사족들과의 친분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성주에서 자신의 입지를 구축하고자 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The terms of Geum, Hyun-geum were together used to refer to Geomungo in the book of 『Mukjaeilgi』 .The term of Geum was never used to mean Gayagenm. When the term of Geum was said instead of Hyungeum, everyone knew it referred to Geomungo. The word of Geum had such a firm place as the abbreviation for Hyungeum that any confusion did not occur in its meaning. But it was two musical instruments called Hyungeum and Dangeum that the noblemen chose to play for their hobby of playing the Geum. Dangeum is three cheok (about 90㎝) long and a little lighter and its production period is shorte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5 cheok (about 150㎝) Hyungeum. Thus Hyungeum was usually used for indoor played instrument while Dangeum was played at party held outside or on Jeongza, a kind of gazebo thanks to the advantage of being portable. Dangeum generally was made of six strings like Hyungeum. Also Five string Dangeum removed the string on the outside was used, too. The productive process and method of Geum has not changed over the years. The production of Geum requires much detailed handwork and Sophisticated technique such as cutting, trimming and pasting various accessories as well as main wood and several bridges(kwae) for Geum. Only a few noblemen such as Lee, Mun-geon could make and repaire their own musical instruments of Geum for themselves, which was not common case. Actually, many public and private slaves were rallied in production of Geum. Local governments which set up Kyobang specially had to hire handicraftsmen to supply and repair the musical instruments for gisaeng. The crafts who were called Geum-gong in Sangjuand and Mokgu and Jeopgeumno in Seoung took charge of these duties. Also they acted on the request of local noblemen who wanted to make Geum under the order of local chief. It has been revealed in 『Mukjaeilgi』 that Lee, Mun-geon made seven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three sets of Dangeum, each set of Weolgeum, Hyungeum, Daegeum and Bipa. Also it has been recorded in his diary that he gave other people ten sets of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two sets of Weolgeum, three Dangeum, and five Hyungeum as well as five pieces of wood for Geum. He gave such sets of Geum to the persons who offered him practical help and had close acquaintance with him as the local officials and people of higher ranks. At these point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Lee, Mun-geon was devoted himself in making Geum during the whole years of exile not only to soothe away wearisome and anxiety but also to keep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officials and higher ranks and establish his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