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변화에 따라 세계 각국은 경쟁력 있는 인력의 양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숙련된 산업기술인력의 양성에서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국가로 호주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숙련인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숙련인력의 양성을 위해 호주가 어떻게 직업교육훈련 체제를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호주의 국가, 주 및 자치주 차원의 직업교육훈련 조직과 직업교육훈련 체제를 파악하고, 최근에 호주가 추진한 직업교육훈련 개혁 추진 활동을 국가체제혁신, 직무능력중심의 훈련, 훈련시장의 자유화, 훈련프로그램 전달 방법의 유연화, 선행학습의 인정, 자격제도의 개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개혁 추진의 주요 성과와 향후 호주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발전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방정부, 각 주 및 자치주정부의 주도성, 인력양성기관과 긴밀한 관계 등이 효율적인 산업기술인력양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둘째, 인력양성의 주축의 하나인 기술전문대학이 체계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셋째, 훈련패키지의 활용과 자격제도의 구축을 통하여 균질한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전국적인 호환이 가능하고, 산업체의 산업기술인력 양성에 관한 요구가 최대한 신속하게 반영된다는 점이다.


Australia is often cited as an example of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can be used for developing skilled and flexible workfor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the Australian VET system and identify the mechanisms that have been successful. It reviews national and state and territory arrangements for VET, and focuses on initial and more recent reforms for improving, recognizing and assuring the quality of training. It also reflects on how Korea can learn from the Australian experience. First, we must acknowledge the critical role played by training providers in developing national human resources, and ensure that national and state government initiatives are coordinated with those providers. Second there is value in developing a national set of competency standards for different industry sectors and to align these with a set of national qualifications. Third, giving industry a leadership role i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initiatives and industry competency standards is key to ensuring that training keeps pace with changing industry requi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