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와 서번트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신교 교회에 소속된 성인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821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8.0, AMOS 18.0, 그리고 Mplus 6.0 프로그램을 사용한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성도의 서번트 리더십에 직접효과 및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성도의 신앙성숙도에 직접효과를 미치며, 교수역량과 학습조직문화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교회의 학습조직문화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역량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교수 역량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회 조직에서 성도의 서번트 리더십 개발을 위한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개발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교회가 학습조직이라는 인식의 확산, 교회학습조직문화의 형성과 활용, 그리고 이를 위한 목회자의 교수역량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성도의 신앙성숙도는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성도의 서번트 리더십 개발을 위해서는 목회자가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역량의 개발, 학습조직문화의 활용을 통하여 성도의 신앙성숙을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self efficacy of staff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universities in Korea.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 zation, and staffs’ self-efficacy ha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have on staffs’ self-efficacy? Third, What influence did mid-level administrators’ authentic leadership have o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38) was drawn from staffs at 20 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18.0)와 AMOS(22.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staffs’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Second, authentic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affs’ self-efficacy. Third, authentic leadership had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had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