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earnings forecast error, 이하 FE)는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analysts'earnings forecast, 이하 AEF)에서 회계이익(EPS)를 차감하여 계산된다. 이 때, FE의 값이 양(+)인경우를 AEF가 낙관적인 편의를 갖는다고 한다. AEF의 낙관적인 편의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회계이익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고 FE는 전적으로 AEF에 반영된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에의하여 결정된다는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AEF가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를 반영하지 않더라도 보수적인 회계처리에 따라 경제적 손실을 경제적 이익보다 신속하게 반영한다면,AEF로부터 차감되는 EPS의 크기가 감소하여 FE가 양(+)의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FE 계산시 회계이익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질적으로는 AEF에 낙관적인 편의가 없음에도 마치AEF가 낙관적인 편의를 갖는 것처럼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AEF에서 나타나는 낙관적인 편의가 회계이익에 반영된 보수주의에 의하여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Ball․Shivakumar(2006) 모형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총 911개 기업-년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Ball․Shivakumar (2006) 모형 이용시 보수주의를 측정하기 위한 경제적 손실과 이익의 구분은 당기의 현금흐름(CFit)을 이용하였다. 이 때, 회계이익에 반영되는 보수주의에 의하여 FE의 크기가 달라지는지를분석하기 위해서는 FE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AEF의 크기를 통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표본을 포트폴리오 NP1부터 포트폴리오 NP3까지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AEF수준은 유사하지만 포트폴리오 NP1부터 포트폴리오 NP3으로 갈수록 FE의 크기가 커지도록하여 AEF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FE가 가장 큰 포트폴리오 NP3에서 보수주의 수준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포트폴리오의 AEF의 수준이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포트폴리오 NP3에서 FE가 크게 나타나는것은 회계이익에 반영된 보수주의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손실과 이익을 구분하는 변수로 CFit 대신 시장조정수익률(REFit)이나 현금흐름의 변동(ΔCFit), 혹은 산업평균 현금흐름을 통제한 현금흐름(INDCFit)을 사용하는 경우에도달라지지 않았다. 또한, 연구모형으로 Basu(1997) 모형이나 Hwang·Lee·Nam·Park(2008) 모형을사용하는 경우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Forecasts error(here after, FE)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earnings per share(here after, EPS)from analysts' earnings forecasts(here after, AEF), where AEF is said to be optimistically biased if FE is positive. In most previous studies, they believe that positive FE is driven from optimistic bias in AEF only, not considering the effect of accounting earnings. However, FE is likely to also have a positive value if economic losses are more asymmetrically reflected in EPS, based on accounting conservatism, than economic gains, even if the analysts' optimistic bias is not considered at all. Therefore, EPS should be considered when FE is calculated. Otherwise, it is likely to get the wrong conclusion that there exists analysts' optimistic bias in AEF although analysts' optimism in AEF does not exist. Accordingly,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examine if conservatism that is reflected in EPS can cause the optimistic bias in AEF (namely, positive FE). To achieve the purpose, we divided the sample into three portfolios from NP1 to NP3, each of which has the similar magnitude of AEF but the magnitude of FE increases from NP1 to NP3. Therefore, because AEF of each portfolio is similar, it is likely that FE is related to accounting conservatism, if the observed conservatism in NP3 is higher than any other portfolio. To test empirically the hypothesis, we have used Ball·Shivakumar(2006) model with current cash flow(CFt) as the variable to distinguish economic gains and los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larger conservatism is observed in NP3,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positive FE could be driven from accounting conservatism. And the above result is not changed even when we have used, as the variable to distinguish economic gains and losses, other variables such as RET, change in cash flow(ΔCFt), and industry -adjusted cash flow(INDCFt), respectively and other models such as Basu(1997) and Hwang·Lee·Nam·Park(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