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 후기에는 화엄학에 대한 교리적 연구와 선 수행이 병행되었다. 이렇게 선교를 병행하여 연구하는 전통은 20세기에 활동하던 石顚 朴漢永(1870~1948)에게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전통을 확인하기 위하여박한영이 편집하고 간행한 두 계통의 ‘강의용 문서’를 조사했다. 하나는 화엄교학에 관계된 ‘科目’ 모음집이고, 또 다른 하나는 『門拈頌集』과 『拈頌說話』를 會編하여 精選한 책이다. 고려 말엽 眞覺 慧諶(1178∼1234)은 『선문염송집』을 편집했는데, 그의 제자 覺雲은 그 책에 주석을 붙여 『염송설화』를 저술하였다. 조선 말엽 白坡亘璇(1767~1852)은 위의 두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를 썼다. 예부터 이주석서를 ‘私記(사적인 기록)’라 이름한다. 우리는 이 ‘사기’를 통해 당시의 학승들이 선 문헌을 어떻게 연구했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17세기 조선의 전라도 지역에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가 판각되는데, 당시의 화엄학승들은 그 책에 관한 ‘과목’ 모음집을 간행한다. 이와 더불어 그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인 ‘사기’를 저술했다. 이런 일들은 주로 雪坡 尙彦(1707~1791)과 그의 영향을 받은 전라도 일대의 학승들이주도했다. 이상과 같은 역사적 전통 속에서, 당시의 승려들은 선교를 병행하여 강의하였다. 이런 강의 전통은 조선의 사상계에도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학승들은 선교일치의 입장에서 각종 저서를 내놓았다. 그리고 이런 전통은 계속되어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졌으니, 그 전통에 서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석전 박한영이다.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zen practice is accompaniedby studie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This tradition of combining practice and study can be also found in the activities of “Seokjeon(石顚)” Park Han-young(朴漢永; 1870-1948) in the 20th century. In this essay, I investigated “documents for lectures” in two different types that wereedited and published by Park Han-young –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to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and a compilation selected from Seonmunyeomsongjip and Yeomsongseolhwa.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was edited by Jingak Hyeshim(眞覺慧諶; 1178-1234)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His disciple Gakwoon(覺雲) added an notations to the book and published it as Yeomsongseolhwa(『拈頌說話』).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ekpa Geungseon(白坡亘璇1767-1852) wrote a commentary based on exegetical studies comparingthese two books. This kind of commentary is traditionally called PersonalExplication(私記). These Personal Explications enable us to glimpse howscholarly monks of those days studied zen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Hwaeomgyeongsusoyeonuicho(華嚴經隨疏演義鈔) (Commentary on Eliciting the True Meaning of The Gaṇḍavyūha-sūtra)was engraved in the Jeolla-do region, and scholarly monks who studiedThe Gaṇḍavyūha-sūtra published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 to this book. In addition, Personal Explications of exegetical commentaries basedon this book were written. These studies were mainly led by Seolpa Sangeon (雪坡尙彦; 1707-1791) and scholarly monks in the Jolla-do region who were influenced by him. In this tradition, monks of those days gave lectures combining zenpractice and studi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thinkingof Joseon period. As the result, scholarly monks inheriting this traditionpublished various books supporting the convergence of zen practice andstudy in literature. This tradition continued to the period of the JapaneseOccupation culminating in Park Han-young’s studi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eokjeon(石顚)” Park Han-young(朴漢永), Convergence of Zen Practice and Theoretical Study, Studies on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in Joseon, “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in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十地品」),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