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화엄수행론에 있어서 돈교와 점교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이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경전의 위상을 논하는 교상판석에서 화엄의 돈점 문제를 시작하였다. 교상판석이 논의된 이후 『화엄경』은 전통적으로돈교에 넣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은 『화엄경』에서 돈점에 관련된 경문을 살펴봄으로써 『화엄경』 자체에서의 돈점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엄경』은 돈점이 교차하는 교의를 바탕으로 중도 원융을 나타내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중국 화엄 주석가들의 문헌에 나타난 돈점의 문제를 고찰하여지엄과 의상이 『화엄경』을 돈교와 원교에 대응시킨 점과 법장의 원교 대응, 그리고 징관의 선종 대응까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엄수행론에 있어서는 돈점이 교차하는 원융론을 기반으로 하여 화엄의 돈점수행론은 중도수행이라고 결론짓고, 중도수행을 강조한 대표자로신라의 의상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화엄의 돈점수행론을 통하여 원융무애한화엄 성불론을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논문을 마감하였다.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oncepts of don-gyo [頓敎], sudden enlightenment, and jeom-gyo [漸敎], gradual enlightenment, as they apply to Avatamsaka practice. This study starts with investigating issues related to Avatamsaka’s concepts of don and jeom [頓漸] in the context Gyosang Panseok [敎相判釋] which classified various Buddhist doctrines that appeared after Buddhism spread to China. I investigated these issues from different sectarian points of view even though the Avatamsaka Sutra was traditionally tied to the concept of don-gyo. by examining relevant sutras within the Avatamsaka Sutra. My findings reveal that the sutra explains woyung [圓融], the doctrine of all-encompassing harmony of the Middle Way [中道] by suggesting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overlap. I also analyzed issues that appeared in records and documents of those who applied exegesis to the Avatamsaka Sutra in China so that I could explore the fact that Zhiyan [智儼] and Uisang [義湘] associated the sutra with don-gyo and won-gyo [圓敎]. Fazang [法藏] did it with won-gyo, and Chengguan [澄觀] did it with Zen [禪] Buddhism. As for the theory of Avatamsaka practice, I concluded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in practicing Avatamsaka is the execution of the Middle Way. I also concluded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wonyung and that Uisang was one of those who emphasized the practice of the Middl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