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애를 갖고 있는 학생의 교육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특수교육진흥법이 1977년 제정된 이후 10여 차례에 걸친 부분 개정과 1차례의 전면 개정을 하였다. 한국의 특수교육발전에 긍정적인 토대가 된 특수교육진흥법은 2007년 4월 30일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 대치되었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변화와 신장된 특수교육대상자와 부모의 다양한 교육적인 요구라는 긍정적인 동력 그리고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방법과 여건을 개선해야 하는 근본적인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현재 한국특수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를 담보하는 실효성이 있는 법의 규정과 무상공교육을 통한 교육지원, 적절한 특수교육방법의 실제부재, 사회통합의 핵심인 통합교육의 실현문제 등으로 요약 된다. 이러한 문제는 법의 제정과 개정과정에서 심도 있고 현실성이 담보된 심층연구의 부족과 사회적 합의의 부재에서 기인 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은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 과정에서도 반복되었다. 특히 유아분리의무교육문제와 치료교육문제는 사회적 영향과 교육에 미치는 커다란 영향에서 불구하고 심도 있게 연구 되지 않고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등에 관한 특수교육법상의 분리의무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헌법에 나타난 기본권의 문제, 취학연령의 문제, 부모와 특수교육대상자의 인권 문제, 장애진단 판정에 대한 문제와 완전한 통합교육실현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시행령과 시행규칙제정과정을 통해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상의 문제점을 최소한 보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It has been partially revised 10 times and there was once full revis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s since 1977 when it has established for the rights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s which solidifie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special education in Korea replaced as the Educational Law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April 30th 2007. This reflected the requirements of considering the positive dynamics of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parents and reforming the educational methods and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current issue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a need of actual plans for inclusive education, a lack of appropriable special educational methods, and a limitation of effectiveness in legislation and free public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issues can be considered as staring from a lack of deep study and social agreement on the problems while establishing laws and revising procedures. This problematic issues reappeared while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Law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issues especially affected on the ex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rapeutical education even if those have considerable influences on public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suggest some complementary measurers in order to minimize the Educational Law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 The problem of exclusive education will be analysed with the constitutional rights, a matter of school starting age, diagnosis and decision of disability, a question of human rights, and establishing full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n enforcement ordinance and making enforcement reg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