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교의 통합 환경에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개별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여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과 결과가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대응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적학생 1명을 대상으로 간접자료수집, 직접관찰, 가설설정, 가설검증의 절차에 따라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학급에서 문제행동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아침활동, 사회, 과학 시간에 선행사건 수정, 대안기술 교수, 후속결과 중재를 포함하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 연구방법 중 상황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부분간격 기록법을 이용하여 문제행동의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기초선 안정 후 중재를 실시하고 중재 종료 1주일 후에 유지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대응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형용사 척도와 수용성 척도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중재는 기능평가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기능평가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여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둘째, 개별화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통합학급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를 통해 지적장애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하여 문제행동의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개별화 긍정적 행동지원의 과정과 결과는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대응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일반학생의 대응태도가 일상적인 통합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능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대응태도를 개선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s of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ttitude change by peers in the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functional assessment was conducted. 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led to three hypotheses for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reversal design, hypotheses were tested in the context of ongoing classroom activities and were accepted. After then,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was examined within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And an designed positive behavior supports on the basis of result of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was conducted during morning activity time, science class and social studies class in the inclusive classroom. After the baselines were established, intervention was applied in each setting. A pretest-posttest and interview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attitude changing of peers. The conclusions dro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ective for reducing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process and result of positive behavior through functional assessment support have attitude of peers changed positivel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to make successful inclusive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