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의 성공적인 직업전환과 직업․진로교육을 위해 현재 정신지체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공과 교육과정의 편성현황과 그 운영실태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전공과를 설치․운영하고 있는 전국 73개 특수학교 중 58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담당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편성현황 조사결과 과목편성에서는 단순영역인 조립, 포장, 용역으로 상당수의 학교가 설치 인가를 받았고, 현재 자체적으로 과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한 학교도 있다. 각 학교에서 과목을 선정하는데는 장애특성상 기능습득 위주의 단순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정신지체와 일반적으로 연관되던 진부한 과목에서 벗어나 식품조리, 서비스, 바리스타 보조 등을 전공선택 과목으로 편성하는 학교도 있고, 그 가능성을 언급하는 학교도 있는 것으로 보아 점점 시대적 요구와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추세인 듯 하다. 직업전교육 관련 교과에 대한 시수와 과목편성 여부에 대해서도 전공과 이전에 습득함이 옳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많으며, 전공과 자체의 독립된 교육과정을 적용하면서 최대한 직업기술교육 시간을 배려하고 있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실태 조사결과, 졸업 후 학생들의 경제적․사회적 독립이 최종 목표이기는 하지만 그 과정과 방법에 있어서 학교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보인다. 자체 전공과 교육과정에 의거해서 연간계획을 작성하나 계획과 실제가 다른 경우가 많고, 실질적으로는 교육과정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의 욕구와 수행능력과 이끌어 가는 전공과 교사의 견해이며 직업기능훈련 및 훈련공과지도를 가장 중시하고 있다. 직업평가 자료를 근거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학생이 있으면 언제든지 현장실습을 실시하고, 대신 학부모와 학생, 담당교사간의 의견일치가 전제되어야 하며 직무지도원의 자격으로 일정기간 현장실습 대상학생과 동행하여 지속적인 추수지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졸업생에 대한 추수지도는 한계가 있어서 이는 학부모의 요구사항과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개별화전환교육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미비한 점이 많고, 담당 교사의 견해를 비롯하여 학부모의 참여도 역시 많이 부진한 편으로 약간의 보완이 필요한 듯 하다. 장애가 점점 중증화되어 감에 따라 학급 구성원간의 개인차가 심하여 교육과정 운영상에 어려움이 많다는 의견이 가장 많고, 과반수 이상이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업체개발을 교육과정 운영상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 curriculums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chief teachers in charge of such subjects in schools for mentally Disabl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 examination into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s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quite a few school got approval for containing assembly, packaging and service into their subjects. Some schools changed the composition of subjects themselves. Some included a simple area requiring the acquisition of skills, service, and assisting a barista into their subjects. Subjects related to overall vocational education were taught before students took classes of thei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s for delivering classes of students'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schools managed curriculums themselves, emphasizing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Second, an examination into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although schools made an annual plan on the management of such curriculum, the plan was not carried out faithfully. In addition, although students received on-site practice training with the instruc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them based on vocational assessment and an agreement of opinions of parents, students and the teacher, there were limitations to giving instructions to students who had already graduated. As for a plan to shift to an ITP(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schools showed differences in operating the plan, teachers expressed negative reactions to it and parents showed low participation. There was lots of difficulty in operating the curriculum because of huge difference among students attributed to severe disabilities. Linking with community and developing firms that willingly emplo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s alternatives. Based on findings above, some suggestions were made. A wide-scale research involving all of the teachers who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in related subjects or have related experience including teachers in charge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students needs to be carried out,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vocational education focused on technical training and shifting ability, curriculum should be checked and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enhance the effect of result-centered shifti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