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현직연수에 대한 인식수준(현직연수 목적 및 타당성, 현직연수 제도와 운영의 합리성, 현직연수 방법의 적절성, 현직연수 내용의 효과성, 현직연수 전문성 신장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현직연수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요구수준을 분석하여 연수활동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연수활동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20개 문항에 관해 설문조사 후 χ2검증,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은 현직연수의 목적 및 타당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행 현직연수 제도와 운영의 합리성에 대한 조사 결과 대다수의 교사가 원격연수를 받아 본 경험이 있고, 원격연수 활용에 대한 호응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직연수 방법의 적절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공문을 통하여 현직 연수에 관한 가장 많은 정보를 얻고 있으며, 현직연수의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해서도 실기실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직연수 내용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직연수가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현직연수 시 실제 현장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내용의 실천적 연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 of teachers regarding in-service training in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0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the object and validity of in-service training, the managerial rationality of in-service training system, the fitness of in-service training methods, its effectiveness, its relationship with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reform measures.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teachers who are in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took a positive view of the object and validity of in-service training, and they felt a strong need for that, which indicated their favorable view of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Second, as for the managerial rationality of the on-the-job training system,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hought the number of the training courses was insufficient, which implied that alth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a strong need for in-service training, training courses weren't diverse enough to address their needs. Third, concerning the fitness of in-service training method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use of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nd they preferred practice a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urth, in terms of content, in-service training was conducive to the teaching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Fifth, in-service training was helpful for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t some courses were the same as other kinds of programs provided by other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