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전문연구자들과 12명의 지적장애인 연구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5명의 참가자는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들이고 7명의 참가자는 장애인보호작업장 근로자들이다.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이루어졌다. 연구기법은 당사자참여연구이면서 지역기반참여연구인 포토보이스를 활용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느끼는 사회적 포함의 상황과 그들의 소망, 지적장애인들의 사회적 포함을 제약하거나 강화하는 의미 있는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포함은 참여, 관계, 속하기의 세 가지 기준으로 고찰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지적장애인들은 나름대로 다양한 사회적 포함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시간적, 공간적, 관계적으로 제한적인 포함이었다. 즉 시간적으로는 낮시간에 한정되었고, 공간적으로는 집, 작업장, 동네, 극소수의 문화공간에 묶여 제한되었다. 또한 관계적으로는 가족과 직장에 한정되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일터는 배제에서 사회적 포함으로 나가는 통로였다. 집에만 갇혀 있던 관계와 활동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일터 생활로부터 얻는 그들의 경제적 수입은 가족 사회에서의 위상 강화를 가져왔다. 일과 수입이 없는 참여자들의 경우 모든 활동에 있어서 가족사회로부터 상당한 저평가와 무시를 겪었지만 일과 수입이 있는 참여자들의 경우 사회적 활동에 대한 가족의 적극적 지지와 지원을 확보했다. 이번 연구는 지적장애인들의 유급고용 참여확대와 사회적 포함 가능성 고양을 위해서는 교육선택지의 다양화와 더불어 경제 활동 선택지의 가능성도 다양하게 열려야 함을 확인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ful conditions which restrict or promote the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has been performed by academic researchers and 12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gether during 3 months in 2012 and use a Photovoice method a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riteria of social inclusion are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belong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various aspects of social inclusion. But the inclusion was limited in term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ir inclusion was limited during the day time and spatially around home, workshop, and neighborhood. Also, it was limited to family and co-workers in respect of relationship. For participants of the study, workshop seemed like the pathway toward social inclusion, which brought expansion of relationship and activities blocked within home. Economical income earned from the workshop strengthened their status in family society. While participants not working and having regularly income experienced being undervalued and being ignored from family members, those having work and income received active support of fami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paid employment expanded social inclusion in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belonging in a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