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D, K, S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2016년 3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142명을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이 많거나 무응답 등의 부적합한 6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136명의 질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자녀연령은 양육부담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또한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지적장애자녀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은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과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impact of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142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tending special-education school and special classes in region D, K, and S from Mar. 15, 2016 to Apr. 21, 2016. Among which, copies of questionnaire for 136 parents excluding the data for 6 parents who were considered as unfaithful or irresponsive were finally analyzed as object of our final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 Win 20.0 and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hildren a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hild-fostering burde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lower their family resilience is. Second,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s' parenting burde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Also, family resilience recognized by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parent's parenting burden on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fore,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programs to alleviate the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ability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