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녕·월정지역에 위치한 사구는 내륙으로 6 km까지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주지역 사구와 마찬가지로 구성 물질의 대부분이 탄산염 광물로서 아직까지 이들의 형성연대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북제주군에 위치한 사구의 고토양층에서 OSL을 이용하여 연대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고토양층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하부 토양층에서 측정된 연대는 6.37±0.98와 6.18±2.20ka로 나타났으며 상부에 보이는 고토양층에서는 1.38±0.18ka의 연대가 도출되었다.또한 OSL 연대측정 기법의 한계를 고려한 후, 측정하려는 대상에 관한 적절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SL 기법의 경우 충분한 양의 석영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석영의 기원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자가 퇴적층의 형성연대를 측정하는 것인지, 퇴적물의 형성연대를 측정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들이 매몰된 상태로 지속된 기간을 측정하는 것인지에 대한 사려 깊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각각의 방법론의 한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연대측정법 자료에 대한 상호검토가 이루어진 후에 홀로세 해수면 변동 등에 관한 정확한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A coastal dune field, located at Kimnyong-Wolchung beach in Jejudo, Korea, extends alongshore for about 4 km, with dunes extending inland about 6 km. Coastal dunes in the area are mainly composed of shell fragments, and it is not known yet when they are formed. During the field trips the authors found two paleosol layers, of which bottom layers yields 6.37±0.98ka and 6.18±2.20ka in age. Upper layer yields the age of 1.38±0.18ka. Older ones from the site are mainly similar to the OSL dates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Interpretation of absolute ages, however, from dune sands made of shell fragments needs extra caution. OSL dating itself has many difficulties such as finding enough quartz sands and the preparation of samples. In order to correlate the OSL dating results with the fluctuation of coastline during the Holocene, more age dating results using diverse dating methodologies should be compared before a meaningful conclusion can be dra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