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드러난 사상적 의미, 특히 하이데거가 인간의 ‘거주함’(Wohnen)을 철학적 지평에서 성찰한 것과 궤를 함께 하는 고구려인들의 거주함에 대한 세계관을 파악하는데 있다.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단순한 예술작품의 차원을 넘어 인간의 심층세계, 거주와 생활세계, 인간의 궁극적인 문제 등을 드러내고 있다. 하이데거는 여느 철학자와는 달리 바로 이러한 “거주함”을 철학의 지평 위로 올렸다. 인간적인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곧 하이데거에 의하면 거주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대 고구려인들은 바로 이 “거주함”을 고분벽화의 엄밀한 장소 속에 담음으로 말미암아 인간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임을 드러내보였다. 그 협소하고 엄숙한 장소에, 그것도 어떤 비장하고 원대한 이상만을 그린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생한 삶의 모습과 거주형태를 표현한 것이다. 고대 고구려인들이 바로 이러한 “거주함”을 인간의 본질적 요소로 삼았기에, 그 철학적인 혜안을 읽을 수 있다. 인간은 거주하는 자로서 존재한다. 그러기에 이 거주함은 곧 인간의 본질을 규명해주는 한 요인이다. 하이데거도 거주함이야말로 “존재의 근본특성”(der Grundzug des Seins)이라고 했다.


Diese Abhandlung behandelt das Denken über das Wohnen bei Heidegger und den Menschen der alttümlichen Kogurea, wie es in dem Freskobild Kogurea zum Ausdruck kommt. Das Freskobild der alttümlichen Kogurea ist nicht ein einfaches Kunstwerk, sondern eröffnet es darüber hinaus den philosophischen Horizont, auf dem das Wohnen und Lebenswelt des Menschen, die tiefliegende überhimmelische Welt und die endgültige Probleme des Menschen zum Ausdruck bringt. Heidegger hat das Wohnen des Menschen auf den philosophischen Horizont erhoben. Die Weise des Menschlichseins ist nach Heidegger das Wohnen. Indem die alttümlichen Kogureaner gerade dieses Wohnen des Menschen in dem Freskobild der alten Gräber geäußert, wo der beschränkte und ernsthafte Ort ist, haben sie dann das Wohnen des Menschen als den Grundzug des Menschseins aufgefasst. Bei Heidegger und den alttümlichen Kogureanern ist sodann das Wohnen vollends eine Wesensbestimmung des Mens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