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인류의 철학적 유산이라고 할 만큼 소중한 고대 그리스의 선포와 개시의 헤르메노이티케(hermeneutike)를 하이데거가 자신의 존재사유를 통하여 재발견하고 재창조한 사실을 밝힌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적 헤르메노이티케를 오늘날 구현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것은 헤르메스의 개시도 신탁의 선포도 들려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존재사유를 통하여 선포와 개시의 ‘헤르메노이에인’을 되살리고 있는데, 이러한 ‘헤르메노이에인’의 재발견과 재창조를 통하여 그의 심원한 해석학과 존재론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해석학에 이르는 과정에는 헤르메노이에인의 ‘선포’에 음성언어적 요소가 있음을 검토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포가 데리다의 “음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는 별개의 것임을, 더욱이 이를 문자중심주의로 대체하려는 데리다의 주장이 온당하지 않음을 고찰해보았다.


Die Abhandlung geht es um die altgriechischen und hei- deggerschen Hermeneutik. Diese Hermeneutik behält aber die Funktion der Verkündigung und Eröffnung. Die altgrie- chische hermeneutike kann man aber heutzutage weder verwirklichen noch erleben, weil man heutzutage weder Hermes noch Götterspruch(bzw. Orakelspruch) erfahren. Die Hermeneutik, die verkündende und eröffnende Funktion hat, hat aber Heidegger durch sein Seinsdenken wieder auf die Bühne gehoben und lebendig gemacht. Den Boden dieser Hermeneutik findet Heidegger in der Welt der Dichtung, Sprachphilosophie, und dem Kunstwerk. Auf dem Wege zur verkündene hermeneutike, insofern darin phonetischer Cha- rakter der Sprache inbesessen ist, schauen wir Derridas Kritik gegen den Phonozentrismus. Aber Verkündigung ist keineswegs eine blosse 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