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한국)의 전통에서 쓰인 ‘악(惡)의 개념들’을 주요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올바른 뜻매김을 마련해 보는 데 있다. 여기서 다루어질 우리의 전통 철학자들은 노자, 순자, 공자, 맹자, 주자, 율곡, 장현광, 최한기 등이다. 이들은 크게 순자 계열과 주자 계열로 나뉠 수 있다. 순자의 ‘악 개념’은 네 갈래로 뜻매김될 수 있다. ① ‘못된 마음 자체(미움,미워함, 샘내기, 강샘 부리기, 제몫부터 챙기려 하는 이기심)’, ② 그러한 마음으로부터 비롯된 ‘어지러운 세상’, ③ 어지러움을 틈타 훔치고 빼앗는 ‘몹쓸 짓들’, ④ 도덕적 타락 상태(더러움, 좋지 못함, 음란함, 음탕함, 저속함,퇴폐, 정서의 타락 등). 이러한 개념들은 다시금 ‘범분난리’, 즉 올바로 나뉜것을 어기는 일(범분, 犯分)과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어지럽히는 일(난리,亂理)이라는 ‘발생적 악 개념’에 포괄될 수 있고, 이는 다시금 편험패란(偏險悖亂), 풀어 말해, ‘서로 제 몫을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벌이고,도리에 어긋난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종합적으로 뜻매김될 수 있다. 주자로 대표되는 성리학의 ‘악 개념’은, 성리학이 성선설의 전제 위에서 펼쳐지기 때문에, 주제적으로 파악되지 못한 채 선(善)에 대한 부정, 즉 ‘어질지않음(不仁)’과 ‘착하지 않음(不善)’으로 뜻매김되고 있다. 주자의 악 개념은 사람들이 도심(道心)에서 멀어져 인심(人心) 또는 인욕(人慾)을 따라 사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의 네 실마리에서 어긋나거나 그것을 거스르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뜻매김은 율곡의 지나침과 모자람(過不及), 장현광(張顯光)의 ‘선(善)에 알맞지 못함(不中節)’, 최한기(崔漢綺)의 ‘기의 흐름을 거스르는 바람에 끝내 큰 화(禍)를 당함’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유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of evil(惡)’ used in Korean traditional context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rom several philosophers, and to define these concepts into a proper Korean term. Major sources of literature for this study comes from leading eastern philosophers such as Lao-tzu, Xun-zi, Confucius, Mencius, Chou Tuni, Yulgok, Jang Hyun-kwang, Choi Han-gi and so on, all of who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Xun-zi and Zhu-xi-lines. First, the ‘concepts of evil’ of Xun-zi, who saw human nature as evil, include following four meanings: (1) an ‘evil mind itself’(hatred, dislike, greed, feeling jealous of, selfishness); (2) a ‘chaotic state of affairs’ caused by such state of minds; (3) ‘evil deeds’ of stealing and robbing arising from such chaos; (4) a state of ‘moral degeneration’(dirtiness, badness, obsceneness, lasciviousness, meretriciousness, corruption, depraved emotions etc.) All of these concepts can be incorporated in broad categories of ‘the evilness as a natural inclination’, or the state of violation of social division and disruption in the natural order or reason causing turmoil(犯分亂理), the superordinate concept of which is the state of strife, contention and a violence, going against culture and violate rational principle, in order to possess more(偏險悖亂). When it comes to the ‘concepts of evil’ in Neo-Confucianism, seeing human nature as perfectly moral, there has been few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evil’ due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currently are merely defined as some negation terms of goodness such as ‘not being benevolent(不仁)’ and ‘not being virtuous(不善)’. Among others, Chou Tuni, who is the acknowledged exponent of Neo-Confucianism, his ‘concept of evil’ refers to the state of following and pursuing private and selfish mind and desire instead of the public and moral ones. To put it more concretely, it means denying and going against the ‘four clues’ of human mind. Such a definition has continuously had an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concepts on evil-Yulgok’s concepts of ‘excess and deficiency(過不及)’; Jang Hyun-gwang(張顯光)’s concepts of ‘being inappropriate to righteousness(不中節)’ and; Choi Han-gi(崔漢綺)’s concept of ‘suffering from disaster due to going against the flow of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