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의 종말이라는 물음은 우리가 자본주의의 전면적 지배 그리고 시각에 의존하는 여러 매체와 인터넷의 문화적 지배하에 놓이게 되면서 반복적으로 제기되어왔다. 특히 그 물음 가운데로 우리를 데려갔던 것은 일본의 비평가 가라타니 고진의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선언이었다. 그러나 가라타니의 그 선언은 사실 심화된 성찰 없이 현재의 한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로부터 나온 결론에 지나지 않으며, 그 사실을 우리는 이 논문에서 보여주고자 했다. 가라타니에게 문학의 종말을 결정적으로 확인된 장소는 한국이었는데, 우리는 여기서 김혜순 시인의 한 작품을 살펴보면서 문학이 아직 종말에 이르지 않았음(문학의 미종말)을 밝혀보고자 했다. 그러나 여기서의관건은 그 작품을 문학의 미종말의 예시(또는 결정적 예시)로 제시하는 데에 있지 않고, 다만 그 작품에서 어떤 새로운 문학적 주체성이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주시하는 데에 있다.


The question of the end of the literature was asked on several occasions, since we were under the total influence of capitalism, and under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visual images and the Internet. It is especially a critic literary Japanese, Karatani Kojin which put to us in the content of this question. But his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literature can be regarded as conclusion for lack of in-depth reflection, and as repetition of a public notoriety. We tried to show it in this article. And It is by see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that Kojin confirmed the end of the literature. We also tried to affirm the not-end of the literature, by reading poems of Kim Hye-Soon. But it is not a question of presenting these poems like proof (or shouting proof) of the not-end of the literature, but of staring at on the new literary subjectivity which would take shape in these po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