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매우 오래 전부터 사용해온 전통적인 용어의 하나인 서민이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빈번히 사용되기에 이른 배경의 일단을 파악해보고 그러한 빈번한 서민용례가 서민에 부여되는 집합적 의미의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는 것인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언론기사와 대통령들의 연설, 그리고 많지 않은 서민에 관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언론기사와 대통령 연설에서 찾을 수 있는 서민용례의 연도별 추이와 물가지표 및 분배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서민용례가 물가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분배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성의 변화가 서민에 부여되는 집합적 의미의 변화를 반영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언론기사와 대통령들의 연설에서 서민이 어떤 존재로 언급되는지를 분석하였는데 여기서 서민들에 부여되는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서민들의 생활이 시간이 갈수록 악화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이 최근 서민이 빈번히 언급되고 또 서민에 관한 언급이 분배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배경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다양한 사회경제지표와 그리고 중산층 등 서민 이외의 집단지칭용어들과 함께 이와 같은 분석이 이루어지고 또 계층론과 계급론의 연구성과와 연관지어 서민이 해석될 필요가 있다.


‘Seo-min’ is one of the many Korean traditional terms to represent a specific social group. However recently ‘Seo-min’ has been frequently used by many politicians, which may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the collective meanings given to it. This paper aims to provide preliminary exploration on the social background of increasingly used ‘Seo-min’ and the change, if any, of its collective meaning by means of historical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and speeches by Korean successive president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rical trends of use of ‘Seo-mi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measured by price index and Gini coefficient, we find that while until the 1980s the use of ‘Seo-min’ had been correlated with price index, since the early 1990s it has been correlated with Gini coefficient. Then,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is change of the correlations might reflect the change of the collective meaning given to ‘Seo-min’, we explore how it has been historically described in newspaper articles and presidential speeches. Through this search, we tentatively conclude that the collective images of ‘Seo-min’ has been changed into more distressful one over time and this may be reflection of high correlation of use of ‘Seo-min’ with Gini coefficient in the 1990s on. We hope that this preliminary analysis is able to provide an impetus for further and deeper studies using various socio-economic indices and interpreting concept of ‘Seo-min’ in relation with findings of studies on social strata and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