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방임 노인의 의사결정능력 평가와 관련된 지침을 제공하고 결정능력 평가와 관련하여 그 유용성이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영국 정신능력법을 의사결정능력의 범위, 평가방식, 평가의 원칙, 판정을 위한 절차 등을중심으로 분석한 후 이를 우리 사회의 자기방임 노인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자기방임 노인은 극도의 불결한 환경과 위생상태에서 본인의 건강은 물론 이웃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도움에 강한 저항을 보이는 특성이 있어 전문적 개입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자기방임이 노인학대의 한 유형이라는 정보 외에는 자기방임 노인에 대한 이해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자기방임 노인의 서비스 거부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나 지침 또한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가 자기방임 노인의 자기결정권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사회적 보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의사결정능력을 평가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현재의 논의들을 살펴보고, 의사


Self-neglect among older people has been conceptualized in both social policy and the academy as a social problem which requires professional intervention and as yet not fully understood phenomenon in our society. Service refusal is frequently portrayed as essential part of self-neglect syndrome. In facing service refusal from self-neglect elderly,professionals experience great ethical dilemmas between autonomy and protection. Social workers have traditionally preferred protection than self determination of the incapable elderly, which has been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or best interests. However, recently advanced knowledge about decision-making capacity leads to guarantee self-determination of vulnerable elderly. There are empirical and theoretical arguments that cognitive function and decision making capacity are separate and that mental impairments do not mean overall decision-making incapability. Assessing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decision-making capacity provides important eth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for social service providers. It is important for professionals working with self-neglecting elders to know decision-making capacity and how to assess it. Mental Capacity Act 2005 and The Code of Practice to Mental Capacity Act of the United Kingdom provide a flexible framework and important several ideas or principles in assessing decision-making capacity of self-neglect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