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성찰적 근대화론이 장애학에 갖는 함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학의 개념 및 장애학의 주류 담론 토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성찰적 근대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수행하며, 성찰적 근대화론의 개인화이 장애학에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성찰적 근대화는 장애인의 노동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마르크스주의에 근거한 논의보다 보다현실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개인화’가 심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가운데, 성찰적 근대화에서는 장애인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수준에 달려 있음도 알 수 있었으며, 성찰적 근대화가 진행될수록 장애정체감과 장애자부심의 형성이 보다 지지될 가능성이있음도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성찰적 근대화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newsocial risks)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으며,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대안적인 공급주체로서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조직이 중요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며, 장애인복지 전문가에게 새로운 성찰의 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performed to inquire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centered on individualiz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studied the concept of disability studies, the main discourse foundation of disability studi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and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e extent of need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public social service, and the probability of establishment of disability identity and disability pride will be strengthened. Moreover,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be a theory which is able to investigate the new social risks theory more deeply, and presents that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s important as a alternative social service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