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서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이 갖고 있는 감정노동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한지 5년이 넘는 사회복지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녹음하여 녹취하였고 자료의 분석결과 331개의 의미단위, 91개의 의미단위 요약문, 26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7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의 구성요소는 “사회복지사가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 “직무 외 감정노동 경험”,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대상들”, “감정노동 경험의 긍정적인 영향들”, “감정노동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들”, “사회복지사가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법”, “변화를 위한 기대”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직무상 나타나는 감정노동을 1차 감정노동과 2차 감정노동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필요성을 분석결과로 제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일을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그 직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 그리고 적절한 직무자원의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employed 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using Giorgi’s (2004)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s to illumin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emotional labor. As such, 10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in the participants’ workplace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as per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alysis of the recordings yielded 331 meaning units, 91 summaries of the meaning units, 26 subordinate components, and 7 components regard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emotional labor. The elements comprising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onsisted of “the reason why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emotional labor”, “the target to which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emotional labor”, “non-work related emotional labor”, “methods to deal with emotional labor employed by the social worker”, “the nega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posi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and “anticipation for changes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outlined and analyzed the need to classify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to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al labor types. The study furthermore suggested that the nature of the work carried out by social workers should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labor involved - and that adequate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workers out of appropriate job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