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에서 영화는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빼놓고는 논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명확한 적을 상정하고 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킴으로써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전쟁영화라면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쟁영화들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교양적이고 오락적인 측면들은 북한영화 연구에서는 쉽게 간과되거나 부차적으로 취급되곤 한다. 이 글은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전쟁영화와 북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추출한 북한 전쟁영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입장에서는 패배의 기억이라 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북한이 유독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패배의 기억을 승리의 기억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인민의 역사 기억과 각성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이 영화들은 인천이라는 잃어버린 공간과 풍경에 대한 기억을 되살림으로써 전쟁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며 끊임없이 전쟁의 의미를 학습시키고 있다. 곧 전쟁의 비장미를 숭고미로 승화시켜, 전쟁을 비극이 아닌 영웅적 행위로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이 영화들은 적은 미국이지 남한이 아니라는 것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종래의 스탈린주의적 민족관에서 벗어나 향후 남한을 한 민족으로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준다. 넷째, 이 영화들은 드라마적 감동 뿐만 아니라 스펙터클한 공중전과 액션장면, 거기에 뮤지컬적 요소 등을 선사함으로써 오락적으로도 만족감을 준다. 이는 인민성의 강조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인민성은 대중성과 인민다움이 합해진 개념으로서, 인민성의 강조는 북한영화에서도 대중성과 오락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이자 오락성이 극대화된 하나의 예로서 북한 전쟁영화는 북한을 보편성에 입각하여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It is difficult to discuss North Korean cinema without its propagandistic nature, and this is even more so for war cinema which strengthens communal solidarity by boosting morale and clearly defining the enemy. However, the refined and entertaining aspects that can be discussed in normal war cinema are deemed peripheral or easily overlooked in North Korean cinema studies. This study has extrac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ar cinema by comparing the depiction of the Inchon Landing Oper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war films: First, the operation, which North Korea takes particular interest in and could be remembered as a defeat, is remembered as a victory in order to induce historical memory and the masses’ consciousness. Second, recalling the memory of the lost space that is Inchon summons memories of the Korean War while reiterating the war’s significance. That is, the films sublimate the tragic beauty of war in order to remember itnot as a tragedy, but a heroic endeavor. Third, the films always remind the audience that the enemy is not South Korea, but the United States. Diverging from traditional Stalinist notions of the ethnic-nation, this shows the transitional nature of North Korea’s views which allowed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South Korea as part of the same ethnic-nation. Fourth, these movies are not only emotionally touching, but feature spectacular dogfights and action scenes, along with musical elements, for entertainment.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the films emphasizing inminsŏng(popularity). Inminsŏng as a concept combines mass appeal and peoplehood, and its emphasis shows that North Korean films, like any other film, cannot overlook mass appeal and entertainment. As a method of remembering history and maximizing entertainment, North Korean war cinema universalizes the North Korean contex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ountr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

North Korean war Films, South Korean War Films, the Inchon Landing Operation, Wolmido, We Must Not Return, Do Not Wait for Us, Inchon Landing Operations, A Glorious Operation, Abengo Airborne Corps, Oh, Inchon, ‘Art films’, ‘Chuch’e Munye Iron’, ‘Embodiment of Hidden Hero’, 2.8 Art Film Studio, Wŏlmido team, Wŏlbisan team, Taedŏksan team, ‘popu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