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0년대 이후 중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대륙을 넘어 해양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그에 따라 동아시아에서의 해양영토분쟁이 점점 첨예화되었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밝히기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중국포위망 돌파론, 해양권익확대론, 그리고 관심전환론 등의 여러 가지 설명들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해양영토분쟁의 심화는 한 가지 원인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며 중국포위망 돌파와 해양권익 확대, 그리고 관심전환이 경우에 따라 차별적인 강도로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댜오위다오 분쟁에 있어서는 중국의 해양세력으로의 성장을 견제하려는 미국, 일본의 재균형 전략과 이를 돌파하려는 중국의 전략이 상충하며 분쟁이 첨예화되었다는 중국 포위망 돌파론이 가장 높은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난사군도 분쟁은 현재까지는 분쟁 지역에서의 중국의 해양권익의 확대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이익이 부합되지 않아 분쟁이 심화되었다는 해양권익확대론이 더욱 큰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관심전환론은 난사군도 분쟁에서 아직은 충분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Since 2000, China has expanded its sea power surpassing its past ability limited to the land. Along the China’s efforts to expand its leadership in East Asia, the ongoing crisis sparked by the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where China has involved appears to deepen. In general, there are three approaches to explain the reasons for the crisis intensification: a) China’s efforts to break a siege by the U.S. and Japan, b) China’s expanded benefits related to the debatable lands, and c) China’s intention to divert the nation’s attention on internal troubles to international conflict. This study fidns the Diaoyudao conflict with Japan is better explained with China’s efforts to break a siege by the U.S. and Japan while the Spratly Islands dispute with five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well discussed with China’s expanded benefits in the South China Sea. However, both disputes is less likely to be explained by the China’s diversionary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