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산대종사(1890-1965)의 발자취는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역사이다. 동산대종사는 당대(1929-1965)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큰스님으로서 한국불교의 이상, 한국불교의 고민, 한국불교의 비극, 한국불교의 위대성이 스님의 사상과 생활 속에 구현되어 있다. 동산대종사는 삼학(三學) 균수를 통해서 그 시대의 문제를 회통(會通)하면서 1700여년의 한국불교 전통의 법등(法燈)을 지켜 새로운 정법 불교의 좌표를 정립한 마조(馬祖, 709-788)대사와 같은 선지식이었다. 동산대종사는 은사 용성스님의 삼취정계와 보살 48계의 정신으로 청정승가와 정법수호라는 정화불사의 선봉장이었다. 동산대종사는 은사 용성스님이 1940년 4월 1일 입적 후 1941년 하안거부터 1965년 3월 23일 입적하기 까지 범어사 조실로 간화선풍을 진작시킨 간화선법(看話禪法)의 제창자(提唱者)로 스님의 가풍을 펼쳤다. 스님의 가풍은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간화(看話)하는 것은 ‘의심, 의단(疑團)’이라는 방법적 자각을 통해서 자기 존재의 불성을 환기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동산대종사는 그의 주석처요, 정화의 산실인 범어사를 중심으로 불교계 전체의 문제, 고민, 나아갈 길에 위법망구의 정신으로 교단을 스님의 피와 살로 느끼면서 보살행을 실천한 선각자였다. 동산대종사는 현재의 범어사로, 현재의 부산불교로 그리고 현재의 조계종단으로 반석위에 놓으신 불세출의 명안종사였다. 스님의 이런 덕화의 가풍이 현재 범어사, 해인사, 쌍계사 등에서 계승되고 있다. 스님의 가풍은 임제선풍을 진작시켰던 선맥의 대종장(大宗匠)으로 증명되고도 남음이 있다. 이런 동산대종사의 유업을 후학들은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 동산대종사의 문인(門人) 능가(1923-)스님의 제안이 참고가 된다. “한국불교의 기본 방향의 대의는 안정수도, 위계질서 확립, 재정 합리화 운영, 현대적 포교, 도제양성, 복지사업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나 이것을 위해서는 선행해야 할 일이 역시 제2정화불교운동의 극명한 수행에 의해서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하겠다. 이 대업의 약점을 요약한다면 먼저 불교인의 역사의식과 시대사명의 확고한 자각과 인식이다. …… 장기적이고 단기적인 복합성 있는 강력한 현대적 도제양성 사업의 즉시 수행이다. 의례적이고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라 역사의식과 시대 소명에 즉응할 수 있는 도제양성이 결단코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만이 한국불교의 미래를 약속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간디가 인도인의 자존심인 것처럼 동산대종사는 한국 근·현대 불교사에서 한국 불교인의 자존심이다.


At the age of 47(1936), the venerable Dong-San was handed down from his guru the master Yong-Sung. He spent his entire life preserving the teachings of his guru. He strongly opposed to the Japanese way of changing Korean Buddhism and asserting traditional Korean Bhikkhu-Buddhism. The movement aimed at preventing unwholesome deeds and recommending wholesome deeds. It can be said the movement expressed that Buddhism meant purifying mind. External purification was meant as depending attack against Saṇga and the Buddhist doctrine. It was one of the ultimated goals in the Buddhist followers that they were eager to embody pure land in real life. It is started by practising precepts and realizing loving-kindness by which we could established pure land. In terms of that, purification of society and universe can be attained. In Dong-San’s Seon-thinking framework, keeping the precepts is of the utmost importance. According to him, liberation and action are not two but one. If you are aware that there can be no samādhi without śīla and no prajñā without samādhi and you continue practice, the three precepts will automatically be realized. Dong-San stands firmly on the side of SagyoIpsen(捨敎入禪), teaching the importance of koan meditation(公案). Dong-san states that the final stage of enlightenment can be achieved through doubt. According to Dong-san, Koan does not mean anything else but one concentrated chunk of doubt(Uidan, 疑團). Uidan is methodological doubt, a tool and a method with which we push to a dead end from which we cannot escape. Therefore, in the Koan Seon by Dong-san, Koan, conbined with doubt, is the most important form of practice. Dong-san’s Koan Seon method is ‘the co-relationship between Uidan and Koan’ and the concept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 Dong-san’s thought did not mean to the Buddhist doctrine systematically but mean to awaken sentient beings who suffer from ignorance(Avidyā), affliction and lead them the truth. Thus, his influence to the modern history of Koran Buddhism is indeed great and influ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