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가상현실에서 게임이 아닌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한 증강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뇌성마비아동 17명에게 적용한 후 시공간적 보행능력에 미치는 중재 효과를 알아보고자 4주 동안, 주 3회, 1회 30분씩 적용하였으며, 보행 유형에 대한 양적인 보행 분석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보행 분석기를 이용하여 시간적ㆍ공간적 보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의 집단 및 범주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 .05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증강현실기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시간적 보행특성인 보행속도는 사전 65.99cm/s에서 사후 72.83cm/s로(p<.01), 분속수는 사전 95.08steps/min에서 사후 100.70steps/min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1). 둘째, 증강현실기반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공간적 보행특성인 보장은 왼발 사전 37.68cm에서 사후 41.93cm로(p<.001), 오른발은 사전 36.38cm에서 사후 40.90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활 보장은 왼발 사전 74.58cm에서 사후 82.94cm로(p<.001), 오른발은 사전 72.26cm에서 사후 83.49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기능적 보행 지수는 사전 74.00점에서 사후 79.9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그러므로 증강현실기반 운동프로그램은 뇌성마비 아동의 시공간적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움직임 재교육과 함께 흥미와 동기부여를 느끼고 시각과 청각, 촉각의 피드백으로 운동에 대한 접근과 조절이 쉬운 프로그램이라 생각됨으로 추후 물리치료사, 학부모, 특수교사 등의 장애아동 운동발달, 재활훈련, 치료지원 및 건강관리 등을 지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 이라고 생각된다.


Augmented reality(AR) is a field of computer research which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real-world and computer-generated data(virtual reality), where computer graphics objects are blended into real footage in real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R based exercise programs with head mounted display(HMD)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Total of 17 children with CP were selected based on predetermined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CP children from rehabilitation hospital. Measurements of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ith GaitRite computerized gait analysis system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f temporal gait parameters as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the CP. Secondly, following AR based exercise programs with HMD, the spatial gait paramet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on right and left side. Lastly,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f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In conclusion, AR based exercise programs was effective on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and AR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individuals with CP. Therefore, further studies employing AR based exercise programs with HMD we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