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이 사회공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초점주의와 특성불안을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자기초점주의와 특성불안과 사회공포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30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척도, 자기초점주의척도, 특성불안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여 측정모형분석 및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초점주의가 사회공포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불안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사회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한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phobia, self focused attention, trait anxiety, self-efficacy. 302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ocial phobia, self focused attention,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18.0 and a maximum likelihood mimimizati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TLI,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self focused attention and trait anxiety 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on social phobia was significant. Third,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self focused attention and trait anxiety was mediated by self-efficacy.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cerning the study and counseling of social phobics.